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선행 연구 검토 및 차별성 6 1) 관련 선행 연구 6 2) 본 연구의 차별성 7 제2장 발코니 관련 개념 및 제도 검토 1. 발코니의 개념 및 기능 검토 11 1) 국내 법규 등에서의 정의 11 2) 건축용어사전에 따른 발코니 등 개념 정의 13 3) 주거용 건축물에서..
-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성과 및 연구범위 1)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3. 공공청사의 정의 1) 공공청사의 법적 정의 및 범위 2) 공공청사 관련 법규 4. 공공청사의 현황 1) 중앙정부 청사 현황 2) 지방정부 청사 현황 5. 연구 흐름도 제2장 ..
정기간행물 8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요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생활행태 및 거주공간의 요구 변화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옥외 공간으로서 개방형 발코니가 재조명되고 있음 • 현행 「건축법」에서는 주거용 건축물에서 부족한 실내 거주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발코니의 확장이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으로, 개방형 발코니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내면적의 감소를 대체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수반되어야 함 • 해외에서는..
-
기부채납 건축물의 효율적 조성과 운영을 위한 과제
* 이 글은 김상호 외. (2021). 기부채납 건축물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기부채납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복지문화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건축물의 제공 또한 공공기여로 인정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 기부채납을 통해 조성하는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에게 제공되는 건축물은 기획 및 계..
-
공공청사의 합리적 계획을 위한 기준 설정 및 제도 개선 방안
요약 ° 행정업무 시설에서 이용자 편의시설 및 복지시설로 점차 의미가 강화되고 있는 공공청사를 합리적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예산계획에 중점을 둔 계획방식에서 나아가 건축문화를 이끄는 선도적 건축물로서 수요를 반영한 기능과 공공성을 구현할 수 있는 적정 계획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공공청사 계획기준은 공공청사 조성 관계자들이 공공청사를 합리적으로 계획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기준으로..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