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74건
-
보행자길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제 개선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1) 연구의 내용 7 2) 연구의 방법 7 3) 연구의 흐름 10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1 1) 보행자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관련 선행연구 11 2) 보행공간 확보와 관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4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7 제2장 보행자길 관련 제도 현황과 쟁점 1. 보행자길 도입 배경과 개념 고..
-
데이터 기반 보행정책 활성화를 위한 공공 데이터 현황과 개선과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2 제2장 정책 동향과 현안 검토 1. 데이터 활성화의 동향과 쟁점 16 2. 보행정책 데이터의 수요와 현안 34 3. 소결: 정책 동향과 현안 51 제3장 보행정책 데이터 제공 현황과 사각지대 진단 1. 보행정책 데이터 확보를 위한 제도적 수단 54 2. 부문별 데이터 제공 현황 88 3. 소결 : 문제점과 사각지대 종합 진단 131 ..
-
건축안전모니터링 실효성 강화를 위한 건축법령 개정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관련 정책 현안 및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대상 및 목적 4 3) 연구 방법 5 4) 연구 수행 과정 6 2. 선행연구 검토 7 제2장 건축안전모니터링 제도 현황 및 문제점 1. 건축 안전 검사제도 현황 및 한계 9 1) 건축 안전 검사제도 현황 9 2) 건축 안전 검사제도의 한계 및 건축안전모니터링과 관계 20 3) 모니터링의 의의 및 기대효과 23 2. 건축안전모니터링 제..
-
경관법 제정 이후 경관정책 추진성과와 개선방향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2장 경관정책 흐름과 시기별 특징 1. 개요 18 2. 정책 형성 단계: 경관법 제정 이전 20 3. 정책 결정 단계: 경관법 제정 및 전부개정 43 4. 정책 집행 단계: 경관법 제개정 이후 52 5. 시기별 경관정책 특성과 변화 62 제3장 국토경관 정책 추진 현황과 성과 진단 1. 개요 72 2. 국토경관 정책 추진 현황..
-
탄소중립도시 조성요소의 규제 샌드박스 도입 현황 및 과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4. 연구흐름도 6 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제2장 탄소중립 혁신기술과 탄소중립도시 조성요소 개념 1. 개요 12 2. 탄소중립도시 조성 관련 혁신기술 목록화 13 3. 도시계획시설에 따른 탄소중립도시 조성요소 도출 24 4. 소결 42 제3장 탄소중립도시 사업계획과 조성요소간 관계 1. 분석의 개요 46 2. 지자체 탄소중립도시 조..
정기간행물 21건
-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U-City 실현방안 연구
요약 1. 서론 2. 본론3. 결론
-
경관향상을 위한 도시특성별 건축물 높이 관리방안 연구
요약 1. 서론2. 국내 건축물 높이 관리 현황 및 필요성3. 해외 건축물 높이 관리 사례4. 결론
-
보행환경 다면평가 시스템 구축 연구
요약 1. 서론 2. 보행환경 다면평가의 틀 3. 보행환경 다면평가를 적용한 대상지 분석 결과4. 결론: 연구의 성과와 한계
-
한국 도시설계에 적용된 서구도시건축이론의 재고
요약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분석의 틀 3. 서구 도시건축이론의 개관 4. 우리나라 도시설계사례의 시대별 검토5. 연구의 결론 및 함의
-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요약 1. 서론 2. 주거지 재생의 개념과 문제점 3.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정책 수법의 효과와 한계 4. 결론 및 정책제언
단행본 5건
-
지역관리회사와 마을재생: 군산시 지역관리회사 사례
제1장 민관협력 마을재생과 지역관리 회사 1. 민관협력 마을재생을 위한 지역관리회사 필요성 006 2. 지역관리회사의 개념 정리 011 제2장 군산 마을재생을 만든 사람들 1. 민관협력 018 1) 공공이 기획하고 민간이 주도한 ‘영화타운 프로젝트’ 018 2) 캠프를 기획하고 운영한 ‘액티브로컬 컨소시엄’ 021 3) 캠프의 선생님 ‘액티브로컬 마스터’ 026 4) 영화시장에 정착한 &..
-
2018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현황과 평가
《 목 차 》 1. 도로다이어트의 이해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006 도로다이어트의 효과 010 도로다이어트의 사례 014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022 이전 사업 현황 026 2. 도로다이어트의 실제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개요 040 차로 다이어트 SITE 01. 노원구 초안산로 043 차로폭 다이어트 SITE 02. 서초구 청계산로 053 SITE 03. 성동구 마장로42길 067 SITE 04. 종로구 북촌로 079 ..
-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개선방안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횡단보도의 이해와 현안01 횡단보도의 정의와 기능 02 횡단보도의 구성요소 03 현행 횡단보도의 문제점 04 횡단보도 개선을 위한 설계요소 제3장 횡단보도 개선의 실제01 현장 여건에 따른 횡단보도 개선 방안 02 횡단보도 개선의 종합 제4장 결론 부록01 국내 횡단보도 설계 관련 법령 및 기준, 가이드라인 검토02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개선의 사례 참고문헌
-
2016 건축도시 정책과 연구 동향
《 목차 》 1. 개요 1.1 개요 1.2 정책이슈 발굴 1.3 정책이슈 분석 1.4 분석 결과 2. 도시재생 2.1 연도별 동향 2.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2.3 연구자 및 기관 협업 네트워크 분석 3. 임대주택 3.1 연도별 동향3.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3.3 연구자 및 기관 협업 네트워크 분석 4. 공공디자인 4.1 연도별 동향 4.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4.3 연구자 및 기관 협업 네트워크 분석 5. 에너지 5.1 연도..
-
지도로 보는 수도권 신도시계획 50년
서론 제1장 1960년대, 수도권 계획의 밑그림들 1962년 도시계획법 신설과 서울시의 광역도시계획준비 대한국토계획학회의 수도권 구상 건설부 중심의 수도권 건설계획 수도권의 성장과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준비 참고ㅣ 대규모 단지개발의 시작 : 화곡단지 개발(1965-1968) 제2장 1970년대, 수도권 신도시의 출발성남신도시계획 반월신공업도시계획 참고ㅣ 서울의 대규모 단지개발 : 반포, 잠실 제3장 1980년대..
auri 소식 2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auri brief 287호 발간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7호 발간 □ 건축공간연구원은 11월 8일, auri brief 287호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를 발간, 재난 발생 시 적합한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약문]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
건축공간연구원군산시, 군산시민문화회관 민관협력형 운영자 선정 공모 실시
건축공간연구원군산시, 군산시민문화회관 민관협력형 운영자 선정 공모 실시 - 사업성과 공공성을 두루 갖춘 민간 운영자설계자 팀 모집 - 10.25까지 기본제안서 접수 □ 세금 부담을 경감하면서도 시민에게 더욱 매력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군산시와 건축공간연구원이 10월 15일(금)부터 ‘군산시민문화회관 민관협력형 운영자 선정 공모’에 참가할 역량 있는 팀을 모집한다. * 군산시민문화회관은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