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9건
-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 지역기반 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방안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1) 주요 개념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7 2) 본 연구의 차별성 13 4. 연구흐름도 14 제2장 AIP 관점의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 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개념 및 방향 1. AIP 관점의 고령자 지역기반 생활지원..
-
영구임대주택의 지역사회 고립 및 갈등 완화를 위한 공간환경 개선 전략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 범위 및 방법 5 1) 연구 범위 및 용어 정립 5 2) 연구 방법 7 4.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고찰 8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13 5. 연구흐름도 16 제2장 영구임대주택 정책 동향과 주요 쟁점 1. 관련 법제도 현황 17 1) 공공주택특별법 18 2) 주거기본법 19 3)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
고령1인가구의 주거복지 지원을 위한 노인복지주택 개선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및 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9 3) 연구수행과정 11 3. 선행연구 검토 12 1) 선행연구 주요내용 122) 본연구와의 차별성 17 제2장 고령1인가구의 현황과 주거지원의 필요성 1. 고령1인가구의 현황과 지원 제도 19 1) 고령1인가구의 가구특성 19 2) 고령1인가구의 주거지원 제도 29 2. 고령1인가구의 주거대안과 ..
-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공공건축의 현황과 과제
제1장 서론 1 1. 포용도시의 공공건축 2 2. 선행연구 검토 43. 연구의 틀 7 제2장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정책 현황 9 1. 장애인 관련 일반 기준 10 2.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정책제도 143. 장애인 복지시설 관련 지원 사업 30 제3장 장애인 복지시설의 공급 수준 31 1. 분석의 개요 32 2. 장애인의 공간적 분포 33 3. 장애인시설의 공급 수준 44 4. 장애인시설의 공간적 접근성 505. 소결 67 제4장 장애인 복지..
-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8 1) 법적 근거로서 주거지원센터의 개념과 역할범위 8 2) 주거지원센터의 지원업무 및 지원대상 범위 9 3) 협동연구의 내용적 범위 11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13 1) 관련 정책 및 사업 분석 관련 기존연구 성과 13 2) 지원조직 설치 관련 기존연구 성과 13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4. 연구 수행방법 및 추..
정기간행물 14건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2013년을 공간복지정책의 원년으로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맞춤형 복지’가 주요 정책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복지정책의 근간이 되는 복지인프라 구축의 관점에서 복지공간의 확충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저출산고령화시대로 접어들면서 보육시설의 확충이나 노인요양시설 등에 대한 공공투자를 늘리는 것은 보편적 복지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현정부의 행복프로젝트인 행복주택, 행복어린이집, 행복기숙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
-
주택사업방식 다양화를 통한 복지 및 생활지원서비스 확충 방안
요약 다양화다변화하는 주거수요를 반영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와 다양한 생활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품종 소량 주택 생산체계로의 전환과 함께 소규모 주택사업에서의 복지 및 생활지원 서비스 확충을 위한 규제유도수단 필요 주택과 시설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해 왔던 관련 법제도를 유연화하여 향후 수요 증대가 예상되는 노유자시설, 영유아시설, 단기체류 숙박 시설, 공공시설 등..
-
노후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단지재생 정책 방안
요약 °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집중적으로 공급된 영구임대주택을 포함한 장기공공임대주택은 공급 후 20년 이상 경과하면서 주택성능이 낮아지고 주거환경이 열악해짐 ° 열악한 주거환경과 취약계층의 집단화로 인한 지역사회 배제 등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의 공공적 가치 증진을 목표로 현재 시설 개선 위주로 추진하는 주거환경 개선 정책을 단지 경계를 넘어선..
-
원격근무 시대의 주거구독 서비스 현황과 전망
원격근무가 확대됨에 따라 본래 사는 곳을 벗어나 지방 등 여러 근무지에서도 거주할 수 있는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주거구독 서비스 시장은 아직까지 여행과 관광 중심의 플랫폼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워케이션 수요를 감안한 서비스로 변화가 요구되며,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업무 인프라 제공에서부터 로컬매니저 지원 등 제도적 지원과 협력을 제공한다면 이를 통해 청년 일자..
단행본 1건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14건
-
2023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 개최
2023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 개최 - 초고령사회,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말하다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11월 16일(목) 오후 2시부터 ‘초고령사회, 베이비부머 세대의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말하다’를 주제로 ‘2023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이하 auri)은 국무조정실 산하 건축..
-
'아동을 위한 주거' 세미나 개최
아동을 위한 주거 소규모 공공임대주택을 통한 아동친화 주거공간 조성 활성화 2021년 12월 14일(수), 14:00~17:20 공공그라운드 001스테이지(지하1층) 서울 종로구 대학로 116 / 혜화역 2번 출구 PROGRAM [제 1부] 주제발표 Child Friendly Living Spaces are more than just playgrounds (영상발제) Mona Meienberg | UNICEF Switzerland and Liechtenstein 아동의 주거권과 아동주거빈곤가구 실태 - 임..
-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건축공간연구원-주택관리공단 MOU 체결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 주택관리공단(사장 서종균)은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원을 위하여 8월 4일 건축공간연구원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주거공간의 질에 기초한 정책 개발지원 △발전적 주거문화의 형성과 확산 기반 ..
-
2022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 개최
2022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 개최 - 한국형 CCRC 미리보기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 이하 auri)은 7월 15일(금) 오후 2시부터 ‘한국형 CCRC 미리보기’를 주제로 ‘2022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은 국무조정실 산하 건축도시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국민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포용적..
-
전주시, 주거복지네트워크 공공건축가 역량강화 위한 특강 추진(2022.4.25. 전북도민뉴스)
기 사 명 : 전주시, 주거복지네트워크 공공건축가 역량강화 위한 특강 추진 주요내용 : 서수정 선임연구위원, '주거복지와 통합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정책방안 및 전략'을 주제로 강연 언론사명 : 전북도민뉴스 보도일자 : 2022.4.25.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직원 1건
부서 | 직급 | 성명 | 업무 | 전화번호 |
---|---|---|---|---|
주거문화연구단 | 부연구위원 | 박석환 | 주거지재생, 공간복지, 공공건축 사업기획 | 044-417-9659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