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여건변화에 따른 공공청사 계획기준 합리화 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필요성 4 2. 연구목적 및 연구범위 7 1)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7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연구방법 9 1) 연구 주요내용 9 2) 연구 방법 9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0 1) 공공건축 계획기준 관련 선행연구 검토 10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16 제2장 공공청사의 개념 및 공공청사 관련 계획기준 17 1. 공공청사 개념 및..
-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성과 및 연구범위 1)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 연구범위 3) 연구방법 3. 공공청사의 정의 1) 공공청사의 법적 정의 및 범위 2) 공공청사 관련 법규 4. 공공청사의 현황 1) 중앙정부 청사 현황 2) 지방정부 청사 현황 5. 연구 흐름도 제2장 ..
정기간행물 2건
-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 설정방안 연구
요약 1. 서론 2. 공공청사 건축디자인 기준의 도입 필요성 3. 공공청사 조성업무의 문제점 4. 국외 공공청사 조성사례 및 관련기준지침 분석 5. 공공청사 건축디자인기준 설정방안6. 연구의 성과와 한계
-
기부채납 건축물의 효율적 조성과 운영을 위한 과제
* 이 글은 김상호 외. (2021). 기부채납 건축물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기부채납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복지문화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건축물의 제공 또한 공공기여로 인정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 기부채납을 통해 조성하는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에게 제공되는 건축물은 기획 및 계..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