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5건
-
가설건축물 화재안전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 대상 및 범위 7 2) 연구 방법 10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2 1) 선행연구 검토 12 2) 본 연구의 차별성 14 4. 연구흐름도 17 제2장 가설건축물 화재안전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쟁점 1. 국내 가설건축물 화재안전 관련 법제도 현황 19 1) 제도 도입 취지 및 경과 19 ..
-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 개선방향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제2장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 현황 1. 업무대행제도 관련 도입 취지 및 목적 11 2. 건축사의 현장조사ㆍ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관련 법제도 현황 17 3. 건축행정절차 상 현장조사ㆍ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의 역할 22 4. 소결 :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의 한계 30..
-
설계공모 이후 건축 생산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공공건축 제도 개선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7 3. 연구 범위 및 방법 7 1) 연구 범위 7 2) 용어 검토 9 3) 연구 방법 12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3 1) 선행연구 현황 13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6 5. 연구흐름도 18 제2장 공공건축 정책제도 동향과 설계공모 추진 현황 1. 공공건축 정책제도 현황 19 1) 공공건축 생산과정 관련 법제도 현황 19 2) 공공건축 기획 및 설계공모..
-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의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민간전문가 제도 및 주요 이슈사항 검토 11 1. 국내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 개요 11 1) 국내 민간전문가 제도의 이해 및 도입배경 11 2) 민간전문가 제도 도입 추진과정 13 2.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개념 및 용어 검토 15 1) 법률에서의 관련 용어 및 정의 15 2) 선행연구와 해외에서의 관..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정비를 위한 체계 및 제도 기반 연구
제1장 서론 / 11. 관련 정책 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 목적 / 4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4제2장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및 정비의 필요성 / 71.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 72.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실태조사 / 251) 실태조사 개요 / 252) 실태조사 대상지 / 253) 실태조사 항목 / 264) 사례별 실태조사 결과 / 285) 종합결과 요약 / 763.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이 주변 지역에 미치..
정기간행물 11건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질의응답 사례를 통해 본 공공건축 사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 이 글은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자문에 대한 응답 DB 및 ‘공공건축 자문에 대한 응답 사례집 2022-2023’을 바탕으로 작성함 국가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공공건축을 조성할 때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등 관련 법령을 준용하여야 한다.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는 2022~2023년 동안 총 1,196건의 공공건축 관련 질의를 받았다. 지방자치단체가 32.3%로 가장 많은 질의를 하였고, 리모델링 관련 질의는 신축보다..
-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 현안과 개선 방향
* 이 글은 이혜원 외. (2023).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대행 제도 개선방향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사의 현장조사검사 및 확인 업무는 건축행정절차 가운데 건축허가, 건축신고, 사용승인 및 임시사용승인 신청 시 이뤄지는 업무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허가권자의 고유권한에 해당하는 이 업무는 「건축법」 제27조 제1항에 따라 건축사사무소 개설신고..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 이 글은 남성우 외. (2024). 2023년 공공건축물 리뉴얼 지원 및 관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공공건축물의 노후화, 공간 부족과 새로운 시설 수요, 운영관리 어려움 등의 문제로 정부(국토교통부)는 철거 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 리뉴얼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과 설계 모델을 지원해 주는 리뉴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 운영한 리뉴얼 사업에서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정비 제도 운영방향
요약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2013년 5월 22일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정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제정되어 2014년 5월 23일 시행을 앞두고 있음 공사가 중단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되어 경관을 저해하고 안전에 위해요소로 거론되며, 때로는 범죄나 탈선 장소로 이용되어온 건축물에 대해 정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됨 정책제안 시행과정에 대한 충..
auri 소식 27건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외 17건(2025.3.4. 건축사신문)
기 사 명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 주요내용 : 건축공간연구원 단행본 주요내용 소개 - 제2종 근생(휴게음식점)을 일부 구획해서 제1종 근생(소매점)으로 사용시 용도변경 여부(전라북도)- 신고대상인 용도변경시 건축물대장의 기재변경 신청 여부【18-0076, 2018.5.15】 - 기존 건축물의 일부를 오피스텔로 용도변경시 전용출입구 설치 여부(서울특별시)- 구조안전확인대상 건축물의 용도변경시 구조안전확인 여부【..
-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공공건축과 건축정책의 미래를 열어 갑니다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공공건축과 건축정책의 미래를 열어 갑니다 - 7일 공공건축상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 건축가와의 대화현장 답사도 진행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11월 7일(화) 오후 2시부터 서울공예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2023 대한민국 공공건축상」과 「제4회 건축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한다. □ ’07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7회를 맞는 「대한민국 공공건축상」은..
-
2023 문화체육관광 분야 디지털혁신 공모전 안내
가. 공 모 명: 문화체육관광분야 디지털혁신 우수사례 및 아이디어 공모전 나. 공모주제: 문화체육관광 관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우수사례 및 아이디어 다. 모집기간: 9.12.(화) ~ 10.20.(금) 라. 접수방법: 사이트를 통해 접수(www.culture.go.kr/digicon) 마. 주최기관: 문화체육관광부 바. 주관기관: (총괄)한국문화정보원, (공동)국민체육진흥공단/한국관광공사/한국콘텐츠진흥원
-
건축공간연구원 신청사 인테리어 공사 입찰 공고
공사 입찰 공고 1. 입찰에 부치는 사항 가. 공 고 명 : 건축공간연구원 신청사 인테리어 공사 나. 공사현장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524번지 [KT&G 세종타워B 7-9층] 다. 공사개요 : 주공종은 실내건축공사업 ※ 공사범위는 사무실 내부 인테리어 공사(상세내역: 별첨 공사시방서 참조) 라. 공사기간 : 착공일부터 55일 마. 추정금액 : 금1,167,820,000원 (추정가격 : 1,026,310,000원 + 부가가치세 : 102,631,0..
-
공직기강 확립 특별점검 온라인 신고센터 운영
직위를 남용한 이권 및 인사개입 등에 대한 특별점검을 추진 중입니다. 특별점검 활동의 일환으로 온라인 신고센터를 운영하오니 신고대상 내역에 대하여 목격하셨거나 피해를 입으신 경우 신고 부탁드립니다. □ 공직기강 확립 특별점검 온라인 신고센터 운영 ◦ 운영기간 : 2021년 6월 1일(화) ~ 2021년 7월 31일(토) ◦ 방법 : 연구원 홈페이지 내 클린신고센터 이용 연구원 홈페이지 → 정보공개 → 신고..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