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건
정기간행물 4건
-
한옥 등 건축자산법의 시행과 고유한 건축문화의 진흥
건축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존중하는 한국 건축문화 애호가들의 오랜 꿈이 실현된다. 2015년 6월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마침내 시행됨에 따라 한옥, 근대 건축물 등 문화적 가치를 가지는 건축물들이 종합적으로 관리되고 지원될 전망이다. 이런 흐름에 발 맞추어 이번 에서는 오랜 논의와 숙고 끝에 탄생한 「한옥 등 건축자산법」의 실체와 활용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고유 건축문화 진흥정책을 진단하고 전..
-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19세기 중반 콜레라가 영국을 강타하면서 배관ㆍ하수 시스템 등 현대 도시를 지탱하는 위생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건축과 도시공간은 위기를 마주하고 대응하며 끊임없이 재편되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사스(SARS)와 신종인플루엔자, 메르스(MERS), 코로나19를 연달아 겪어내면서 건축 도시공간은 또 다시 변화의 시점에 접어들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건축과 도시공간이 본..
-
로컬 지향의 시대, 어촌으로 가다
이번 호에서는 쇠퇴한 어촌의 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해 온 어촌뉴딜 300사업과 선도사업의 성과, 한계를 짚어보고 어촌의 잠재력을 찾아 떠난 사람들의 새로운 시도를 살펴본다. 또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이 더 친숙하게 어촌을 만날 수 있도록 로컬 지향의 시대에 맞는 어촌어항 재생의 새로운 정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로컬 지향의 시대, 어촌으로 가다 어촌뉴딜 사업의 성과와 한계..
-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 이 글은 이규철 외. (2021). 건축자산 진흥 제도 개선방안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자산 진흥 제도는 국가 기본계획으로서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광역지자체에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기반은 마련되었지만, 보다 효과적인 건축자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