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0건
-
결합건축 제도의 적용 가능성 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3) 연구 흐름도 7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검토 8 2) 본 연구의 차별성 9 제2장 결합건축 제도 현황 및 주요 쟁점 1. 결합건축 제도의 도입배경 및 개념 12 1) 결합건축 제도의 도입배경 12 2) 결합건축 제도의 개념..
-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도시정책의 개선방향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1) 인구고령화와 도시 거주 고령자의 열악한 생활환경 2 2) 도시 거주 고령자의 생활환경 개선 관련 국가차원의 노력 6 2. 연구의 필요성 10 1) 고령친화적 시설・교통・주거 및 서비스의 종합 연계 생활환경 조성 필요 10 2) 선행연구에서의 커뮤니티 단위 종합적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 강조 13 3. 연구의 목적 및 방법 15 1) 연구의 목적 15 2) 연구의 범위 15 3) 연구의 방..
-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위한 민관협력방식 활성화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9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114. 연구의 흐름 13 제2장 민관협력형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활성화 필요성 1. 민관협력방식의 개념 15 1)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방식의 개념 15 2) 민관협력방식의 도입배경 및 최근의 논의 (영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17 2. 민관협력형..
-
고령사회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8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의 방법 9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0 제2장 노인 안전사고 및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안전 관련 제도 현황 1. 노인 안전사고와 원인 13 1) 생활 안전사고 발생 현황 및 원인 14 2) 화재안전사고의 피해 확대 원인 20 2. 노인주거복지시설 조성현황 및 건축물 상태 26 1) 노인주거복지시설 조..
-
한옥마을 우수경관 사례 연구 (1) -고성 왕곡마을, 영주 무섬마을, 대구 남평문씨본리세거지 -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주요내용 2 3. 연구의 흐름 4 제2장 한옥마을 선정 및 추진과정 5 1. 한옥마을 경관의 개념 및 유형 5 1) 한옥마을 경관의 개념 5 2) 한옥마을 경관의 유형 9 2. 조사대상 한옥마을 선정 및 우수경관 시각자료 수집 15 1) 조사대상 한옥마을 선정 15 2) 한옥마을 경관 시각자료 수집 24 제3장 한옥마을 우수경관 사례 25 1. 고성 왕곡마을 25 1) 고성 왕..
정기간행물 2건
-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현황과 쟁점 이슈
* 이 글은 권오규 외. (2023). 전기차 확산에 따른 공동주택단지 충전설비 설치기준 개선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최근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충전시설 구축이 필수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한국판 그린뉴딜 정책은 친환경 자동차 보급과 인프라 확충을 핵심 과제로 설정하며,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충전시설 설치를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보급 목표를 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
고령친화 생활환경 마련을 위한 건축도시 정책개선 방향
* 이 글은 고영호 외. (2021).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도시정책의 개선방향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고령화에 따라 건축도시 분야에서의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WHO 고령사회 대응 지침에서는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물리적사회적서비스 환경에서의 종합적 대응을 기본 원칙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국내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도시정책..
auri 소식 3건
-
"실버 분야 미래 전문인력 양성과 학연 교류 활성화 추진을 위한" 건축공간연구원숙명여자대학교 MOU 체결
실버 분야 미래 전문인력 양성과 학연 교류 활성화 추진을 위한 - 건축공간연구원숙명여자대학교 MOU 체결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환용)과 숙명여자대학교(총장 문시연)는 실버 분야 미래 전문인력 양성과 학연 교류 활성화 추진을 위해 3월 13일(목)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실버 주거 문화를 위한 연구 협력 및 정보 교환, △실버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
-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현황과 쟁점 이슈" auri brief 289호 발간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현황과 쟁점 이슈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9호 발간 □ 건축공간연구원은 12월 24일, auri brief 289호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현황과 쟁점 이슈’를 발간, 전기차의 보급 확대에 따른 충전시설 설치 현황을 파악하고,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요약문] 최근 전기차 보급..
-
[경제/부동산칼럼-한석만] 정부는 재건축 막을 이유 없다! 지구환경 급속도로 변하는데 안전한 주택은 없다 (2018.05.08.내외뉴스통신)
기 사 명 : [경제/부동산칼럼-한석만] 정부는 재건축 막을 이유 없다! 지구환경 급속도로 변하는데 안전한 주택은 없다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 brief 164호 "국내 주택 내진설계 적용 실태와 개선 방향(조영진, 김신성)" 인용 언론사명 : 내외뉴스통신 보도일자 : 2018.05.08. ▷관련 뉴스 바로가기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