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6건
-
지자체 경관계획 수립 현황과 과제 - 특광역시 중점경관관리구역 계획과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내용 8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2) 연구의 주요내용 9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2장 경관계획 관련 제도 및 수립 현황 1. 경관계획 관련 제도 현황 14 1) 경관계획 관련 법령 및 지침 14 2) 경관계획 관련 타 법령 18 3) 지방자치단체 경관 조례 20 2. 경관계획 수립 원칙 및 주요..
-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건축행정정보 개방 범위 확대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국가의 혁신성장 동력으로 데이터경제의 중요성 부각 1 2) 연구목적 5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7 1) 건축행정정보의 개념과 범위 7 2) 연구 주요내용과 연구방법 9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2 제2장 데이터경제 활성화와 건축‧도시분야의 정책방향 1. 데이터경제의 개념과 활성화 정책 19 1) 데이터경제의 개념 19 2) 관련 정책 방향 및 계획 25 3) 관련 정..
-
지역 경관관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중점경관관리구역 제도 개선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7 2. 연구범위 및 방법, 흐름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8 3) 연구흐름 10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1 제2장 지역 경관관리수단으로서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역할과 과제 1. 지역 경관관리의 현황과 한계 15 2.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역할과 과제 22 1) 중점경관관리구역의 개념과 가능성 22 2) 중점경관관리구역 관련 유사 법..
-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계획에 관한 기초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내용 7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7 2) 연구 수행방법 12 3) 연구의 주요내용 13 3. 선행연구 성과분석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4 1) 선행연구 성과분석 142)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5 제2장 우리나라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도입 필요성 및 여건 27 1.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개념 및 주요쟁점 28 1..
-
빈집정비계획 수립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수행 방법 및 추진체계 44. 선행 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제2장 빈집의 현황 및 실태 1. 빈집의 현황 72. 빈집의 발생 원인 및 양태 23 제3장 빈집정비계획 수립 관련 제도 및 정책 1. 빈집정비계획 수립의 제도적 기반 29 2. 빈집정비 관련 법령 및 조례 383.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47 제4장 빈집의 정비 및 활용 사례 1. 지방정부의 빈집 정비..
정기간행물 3건
-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운영 현황과 과제
* 이 글은 이혜원 외. (2022)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운영 현황과 과제.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19년 12월 19일부터 공공건축 조성 시 ‘건축기획’과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운영’이 의무화되었으며, 심의위원회는 건축기획을 심의하고 사업추진에 필요한 사항을 자문하게 되었다. 현행 법령은 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을 지자체 및 공공기관이 정하도록 하여 기관의 특..
-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 이 글은 이규철 외. (2021). 건축자산 진흥 제도 개선방안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자산 진흥 제도는 국가 기본계획으로서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광역지자체에서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을 수립하여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 건축자산 진흥 제도의 기반은 마련되었지만, 보다 효과적인 건축자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
기부채납 건축물의 효율적 조성과 운영을 위한 과제
* 이 글은 김상호 외. (2021). 기부채납 건축물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기부채납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복지문화경제 활성화 등을 위한 건축물의 제공 또한 공공기여로 인정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 기부채납을 통해 조성하는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에게 제공되는 건축물은 기획 및 계..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