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 건축물 노후도
- 전체 (22) 연구보고서 (5) 정기간행물 (7) 세미나·포럼 (0) auri 소식 (10) 직원 (0) 연구보고서 5건 더보기 산업단지 경관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수행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8 제2장 산업단지 경관 관련 법제도 분석 1. 산업단지 개발사업 현황 및 관련 법제도 11 2. 산업단지 재생사업 현황 및 관련 법제도 25 3. 산업단지 경관심의 현황 및 관련 법제도 38 4. 소결 56 제3장 산업단지 경관가이드라인 관련 사례 분석 1. 사례분석 개요 59 2. 산업단지 경관 관련 가이드라인 사례 61 3. 경.. 노후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단지재생정책 연구
- 병원 노후도
연구보고서 24건
-
영구임대주택의 지역사회 고립 및 갈등 완화를 위한 공간환경 개선 전략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 범위 및 방법 5 1) 연구 범위 및 용어 정립 5 2) 연구 방법 7 4.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고찰 8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13 5. 연구흐름도 16 제2장 영구임대주택 정책 동향과 주요 쟁점 1. 관련 법제도 현황 17 1) 공공주택특별법 18 2) 주거기본법 19 3)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지원법..
-
1기 신도시 재건축 단지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3) 연구의 주요내용 8 4)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9 제2장 1기 신도시 재건축에서의 공공성 개념과 평가지표 1. 재건축 관련 공공성 개념 검토 12 1) 도시 분야의 공공성 12 2) 신도시, 재건축에서의 공공성 관련 논의 18 3) 주거단지의 공공성 관련 논의..
-
지역건축안전센터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1) 연구의 범위 6 2) 연구의 방법 7 3. 선행연구 검토 8 4. 연구흐름도 11 제2장 지역건축안전센터 관련 제도 및 운영현황 분석 1. 제도 도입취지 및 경과 13 1) 제도 도입취지 및 목적 13 2) 제도 제․개정 연혁 15 2. 지역건축안전센터 관련 법령 및 정책 현황 19 1) 지역건축안전센터 관련 ..
-
인구감소시대 노후공동주택 빈집의 실태진단 및 관리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8 제2장 우리나라 노후공동주택 빈집의 개념과 현황 1. 노후공동주택 빈집의 개념과 조사 방식 11 2. 노후공동주택 빈집의 발생 현황 18 3. 노후공동주택 빈집의 발생 원인과 특성 39 제3장 사례지역의 노후공동주택 빈집 실태 및 주요 현안 1. 사례지역의 선정과 조사 방법 47 2. 사례지역의 노후공동주택 빈집 실태..
-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위한 건축기획 개선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범위 및 방법 7 3. 선행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차별성 10 제2장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 추진현황과 건축기획 1.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 추진배경 및 개요 15 2.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사업 추진체계 23 3.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건축기획 27 4.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건축기획의 주요 현안 37 제3장 그린스마트미래학교 건축기획 분석 1. 분석 개요 45 2.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정기간행물 25건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질의응답 사례를 통해 본 공공건축 사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 이 글은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자문에 대한 응답 DB 및 ‘공공건축 자문에 대한 응답 사례집 2022-2023’을 바탕으로 작성함 국가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공공건축을 조성할 때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등 관련 법령을 준용하여야 한다.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는 2022~2023년 동안 총 1,196건의 공공건축 관련 질의를 받았다. 지방자치단체가 32.3%로 가장 많은 질의를 하였고, 리모델링 관련 질의는 신축보다..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우리나라 빈 건축물은 얼마나 될까? - 행정데이터 기반 빈 건축물 추정
* 이 글은 조영진 외. (2022, 2023). 건축물관리지원센터 업무 위탁.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3년 5,200만 명에서 2070년 약 3,800만 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인구 감소는 빈 건축물 증가의 원인이 되며, 빈 건축물은 상권 침체, 주거환경 악화 등 여러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주택 용도의 빈집은 「소규모주택정비법」에 따라 조사가 의무화되어 수량을 알 수..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 이 글은 남성우 외. (2024). 2023년 공공건축물 리뉴얼 지원 및 관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공공건축물의 노후화, 공간 부족과 새로운 시설 수요, 운영관리 어려움 등의 문제로 정부(국토교통부)는 철거 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 리뉴얼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과 설계 모델을 지원해 주는 리뉴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 운영한 리뉴얼 사업에서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
단행본 1건
세미나·포럼 2건
-
- 행사명 : 저층주거지 소규모주택 재생을 위한 집수리 실행방안 토론회
- 주제 : 저층주거지 집수리 실행방안 정책제언 및 토론
- 기간 : 2018-04-10 ~ 2018-04-10
- 장소 :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
- ❚개요 • 주 제 : 저층주거지 집수리 실행방안 정책제언 및 토론 • 일 시 : 2018년 4월 10일(화) 14:30 ~ 17:30 • 장 소 :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 • 주 최 : 서울특별시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제 및 토론자 • 사 회 김지환 | 서울시 주거환경사업팀장 • 주제발표 1. 저층주거지 소규모주택(단독) 재생사업 정책 제언 이용의 ..
-
- 행사명 : 2015 auri 국가한옥센터 제1차 한옥포럼
- 주제 : 실속있는 한옥 - 한옥, 함께쓰기
- 기간 : 2015-04-24 ~ 2015-04-24
- 장소 : 페럼타워 3층 페럼홀
- ❚2015 auri 국가한옥센터 제1차 한옥포럼 개요 • 주 제 : 실속있는 한옥 – 한옥, 함께쓰기 • 일 시 : 4월 24일(금) 14:00-18:00 • 장 소 : 페럼타워 페럼홀 3층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주 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후 원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발제 및 토론자 • 주제발..
auri 소식 22건
-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1호 발간 - □ 건축공간연구원은 8월 21일, auri brief 281호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을 발간,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건축공간 기반 상용화가 예정된 로봇, 자율주행차, UAM 등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기본계획과 설계안을 제안한다. [요약문] ..
-
2023 아시아도시경관상에 대한민국 3개 작품 본상 수상
2023 아시아도시경관상에 대한민국 3개 작품 본상 수상 건축공간연구원 공동주최자로 참여, 총 9개 본상 선정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 외 4개 기관이 주최한 ‘2023 아시아 도시경관상’에서 「구천면로 걷고싶은 거리조성사업(서울특별시 강동구청)」, 「홍대 레드로드 조성(서울특별시 마포구청)」,「MBC - 빈집재생프로젝트(MBC)」이 ‘본상’에 선정되었다. □ 「아시아 도시경관상(ATA; ..
-
전국 건축물 총 7,314,264동 / 40억 5천만㎡
전국 건축물 총 7,314,264동 / 40억 5천만㎡ - 전년 대비 동수 0.5% 증가, 연면적 2.4% 증가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1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작년보다 38,998동(전년 대비 0.5%)이 증가한 7,314,264동이며, 연면적은 작년보다 94,355천㎡*(전년 대비 2.4%)이 증가한 4,056,243천㎡라고 발표하였다. * 축구장(7,140㎡) 기준 약 1만3천개 면적, 잠실 야구장( 26,331㎡) 기준 약 3,583개 면적..
-
군산시민문화회관 운영자설계자 선정
군산시민문화회관 운영자설계자 선정 - 군산시민문화회관 민관협력형 운영자 및 설계자 선정 절차 완료 - □ 금회 선정된 프로젝트팀 ‘거인의 친구들’은 군산에서 활동하는 생활예술가 그룹, 인천의 복합문화공간 운영 중인 콘텐츠기업과 서울 소재의 재생건축분야 설계자로 구성된 프로젝트팀이다. □ 김중업 건축가의 유작으로 알려진 군산시민문화회관은 2013년 운영 중단 후 활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
전국 건축물 총 7,275,266동 / 39억 6천만㎡
전국 건축물 총 7,275,266동 / 39억 6천만㎡ - 전년 대비 동수 0.4% 증가, 연면적 2.6%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2020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31,794동(0.4%), 연면적은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약 423배 규모인 101,016천㎡(2.6%) 증가하여 7,275,266동이며 3,961,887천㎡라고 발표하였다. ㅇ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8,723동(50,066천㎡) 증가한 2,021,780동(1,790,298천㎡)..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