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민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방안
제1장 탄소중립을 위한 그린리모델링의 중요성 1. 연구의 배경 2 1) 탄소중립을 위한 건물 부문 이슈 2 2) 건물 부문 탄소중립 실행 전략 및 주요 해외사례 7 2. 연구의 목적, 주요내용, 수행방법 및 질문 16 1) 연구 목적 16 2) 연구 주요내용 16 3) 연구의 수행방법 16 4) 연구 질문 17 3. 주요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8 제2장 민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의 현황 및 진단 1. 그린리모델링 추진..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정비를 위한 체계 및 제도 기반 연구
제1장 서론 / 11. 관련 정책 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 목적 / 4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4제2장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및 정비의 필요성 / 71.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 72.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실태조사 / 251) 실태조사 개요 / 252) 실태조사 대상지 / 253) 실태조사 항목 / 264) 사례별 실태조사 결과 / 285) 종합결과 요약 / 763.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이 주변 지역에 미치..
정기간행물 3건
-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 이 글은 남성우 외. (2024). 2023년 공공건축물 리뉴얼 지원 및 관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공공건축물의 노후화, 공간 부족과 새로운 시설 수요, 운영관리 어려움 등의 문제로 정부(국토교통부)는 철거 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 리뉴얼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과 설계 모델을 지원해 주는 리뉴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 운영한 리뉴얼 사업에서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
-
재해에 취약한 (반)지하주택은 어디에 얼마나 있을까? - 데이터로 본 전국 재해 취약 지하층 주택 현황
* 이 글은 안의순 외. (2023). 건축행정 데이터 기반 재해 취약 지하층 주택 현황 분석.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22년 8월 집중호우로 지하층(반지하) 주택에서 인명피해가 집중 발생하면서 지하층 주택의 재해 취약성이 다시 조명되었다. 민간개방 건축행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해 취약 지하층 주택(다중주택, 다가구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용도 지하층 주택 중 20년 이상 경과 또는 조적조 구조..
-
스마트기술 적용 확대를 위한 건축산업의 당면과제
* 이 글은 김은희 외. (2021) 스마트건축 산업화 모델 및 제도 기반확충에 관한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제조농업바이오자동차도시 등 국가 주요 산업에 스마트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발 빠르다. 그러나 건축산업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 속도가 느리다. 매년 건축산업의 매출규모와 사업체 및 종사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노동생산성..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