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포스트코로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언택트 어버니즘 전략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 목적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1) 연구내용 4 2) 연구방법 6 3) 연구의 흐름 7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8 제2장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건축 도시의 방향성 정립 1.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기존 국내외 대응 방안 9 1)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10 2)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H1N1) 13 3)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
-
포스트코로나-뉴노멀시대의 건축도시공간의 변화 예측과 우리나라 가로 및 보행환경 정책에의 시사점
Ⅰ 배경 및 주요내용 1. 배경 및 목적 9 2. 주요내용 13 Ⅱ 포스트코로나-뉴노멀시대 건축도시공간 관련 연구 동향 및 해외 주요 국가의 대처 1. 주요 연구동향 15 2. 해외 주요국가의 대처 18 Ⅲ 포스트코로나-뉴노멀시대 국내 건축도시공간 변화 예측 1. 건축물 차원에서의 변화 31 2. 도시가로보행공간 차원에서의 변화 33 Ⅳ 우리나라 가로보행환경에 대한 시사점 및 정책적 개선방향 1. 시사점 39 2. 우리나..
정기간행물 3건
-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는 지역 내 공간자원 전환 전략
* 이 글은 변은주 외. (2021). 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공간자원 활용체계 구축방안: 생활치료센터를 중심으로.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감염병의 대규모 확산이 현실화된 팬데믹 시대. 예측 불가한 감염병의 위협 속에서 공간적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도입되어 비용효율적 대안으로 평가받은 생활치료센터를 사례로 지역 ..
-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요약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생활행태 및 거주공간의 요구 변화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옥외 공간으로서 개방형 발코니가 재조명되고 있음 • 현행 「건축법」에서는 주거용 건축물에서 부족한 실내 거주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발코니의 확장이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으로, 개방형 발코니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내면적의 감소를 대체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수반되어야 함 • 해외에서는..
-
요양병원의 코로나19 감염확산 원인과 시설계획 대응방향
* 이 글은 김꽃송이 외. (2021). 감염병 확산 시나리오별 요양병원 시설계획 대응전략.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기존 요양병원에서 원내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감염확산 원인과 감염관리계획의 주안점을 고려하여 유연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①생활방역단계, ②지역적 유행단계, ③전국적 유행단계 이상 3단계로 감염병 확산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ls..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