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건축서비스산업의 재발견
제1장 건축서비스산업을 바라보는 시각의 전환 1. 내부자의 시각에서 외부자의 시각으로 전환 22. 내부 여건 파악에서 외부 여건 대응으로 확대 4 제2장 건축서비스산업 진흥을 위해 고려해야 할 외부 요인 1. 건축서비스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평가 방법 6 1) 독일 건설문화 연방 재단의 「Baukultur Report」 내 평가방법 7 2) 영국 창조산업위원회의 「Creative Industries UK」 내 평가방법 12 3) 영국 디자인위원회의 「Th..
-
질적 특성을 고려한 건축·도시공간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연구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2) 시간적 범위 3) 공간적 범위 3. 연구의 수행방법 1) 문헌자료 조사·분석 2) 법령 및 제도 검토 3) 관련 계획 및 수립지침 분석 4) 전문가 토론회를 통한 정책아젠다 발굴 5) 현장조사 6) 건축관련 통계자료 조사 7) 선행연구 및 논문 검토 8) 연구 수행 흐름도 Ⅱ. 연구내용 1. 전략계획..
정기간행물 3건
-
[창간호] 건축과 도시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출발점:건축기본법과 건축정책기본계획
요약 건축도시정보센터에서는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 BRIEF」 라는 새 정기간행물을 창간하였습니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 BRIEF」는 건축․도시공간분야 관련 정책 및 세계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간행물입니다. 건축․도시공간분야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ㆍ 건축의 공공적 가치 구현을 기본이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건축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된 건축기..
-
창조적 공간문화 구현을 위한 정책방향
요약 건축도시공간은 문화적 자산이 될 수 있는가? ㆍ건축을 비롯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건축문화진흥을 목표로하는 건축기본법이 2008년 6월에 발효됨 ㆍ프랑스 건축법 1조는“건축은 문화의 표현이다. L’architecture est une expression de la culture.” 로 시작하여 건축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와 공공의 이익에 대한 내용을 담고있음 ..
-
한옥 정책, 10년을 돌아보다
2007년 '한스타일 육성 종합계획' 이후 본격적인 한옥의 브랜드화 정책이 10년을 맞이했다. 그간 중앙정부 등의 꾸준한 노력과 지자체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진흥사업 추진에 따라 현대한옥의 실체가 가시화되기 시작했고, 특히 2015년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발효되면서 한옥진흥정책의 철학과 방향이 명시되었다. 이에 맞추어 이번 호 정책이슈에서는 설계시공이론 등 한옥진흥의 현장에서 발생했던 문제점..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