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4건
-
민관협력(PPP) 공적부동산 재생 방안
요약 ° 인구 감소와 시설 노후화의 영향으로 지방도시의 유휴 공적부동산이 증가하고 있으나, 원도심이라는 불리한 입지 조건으로 시설 조성비와 운영비 확보에 난항 ° 민간위탁, 관리위탁, 위탁개발 등의 민관협력 제도는 원상복귀 조항, 경쟁입찰 원칙 등의 제도적 한계로 창의력 있는 지역 기반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참여에 제약 ° 공적부동산 내에 민간시설을 병설하여 민간시설의 수익 일부로 공공시설의 운..
-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는 지역 내 공간자원 전환 전략
* 이 글은 변은주 외. (2021). 감염병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공간자원 활용체계 구축방안: 생활치료센터를 중심으로.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감염병의 대규모 확산이 현실화된 팬데믹 시대. 예측 불가한 감염병의 위협 속에서 공간적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도입되어 비용효율적 대안으로 평가받은 생활치료센터를 사례로 지역 ..
-
원격근무 시대의 주거구독 서비스 현황과 전망
원격근무가 확대됨에 따라 본래 사는 곳을 벗어나 지방 등 여러 근무지에서도 거주할 수 있는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주거구독 서비스 시장은 아직까지 여행과 관광 중심의 플랫폼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워케이션 수요를 감안한 서비스로 변화가 요구되며,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업무 인프라 제공에서부터 로컬매니저 지원 등 제도적 지원과 협력을 제공한다면 이를 통해 청년 일자..
-
대규모 재난에 따른 이재민의 임시주거시설 사례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유형이 변화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면서 임시주거시설에 장기간 거주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공급되고 있는 임시주거시설의 경우, 단기 구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재민과 지역사회의 후유증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임시주거시설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대규모 재난을 경험한 해외 사례를 통해 단순 수용이 아닌, 이재민..
auri 소식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