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1건
더보기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방법과 범위 6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5. 연구 추진 과정 14 제2장 이론 검토와 ‘사람 중심 가로’ 개념 정립 1. 문헌 조사 개요 15 2. 국외 가로 논의의 흐름 16 1) 19세기 후반-20세기 초 : 다양한 가로계획 개념의 등장과 충돌 16 2) 20세기 초 : 통행을 위한 기관으로서 가로, 기능별로 분리된 가로 18 3) 1960-70년대..
정기간행물 1건
요약 ° 최근 정부와 지자체는 안전한 도시, 여성친화도시, 친환경도시, 보행친화도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도시환경의 질은 물론 도시민의 삶의 질 제고를 도모 ° 또한 가로를 도시를 활성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인식하여 ‘모든 이용 주체가 서로 배려하며 공유하는 공간’이자 ‘다양한 선택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바라보고 ‘사..
단행본 1건
《 목차 》 범죄예방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와 개선방안 001조영진 부연구위원, 조상규 연구위원, 안지수 연구원 지역건축기본계획의 실효성 확보 방안 009김영현 부연구위원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정책 방향 및 제도 개선 방안 021김은희 부연구위원, 염철호 연구위원 공사중단 건축물 실태조사 추진 및 제도 개선 방안 029임유경 부연구위원, 임현성 연구원 건축서비스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AURIC 연구문헌
인기검색어
2025-04-22 ~ 2025-04-29
추천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