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건
정기간행물 3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데이터로 본 건축물 재난사고 현황과 대응 방향
사용 중인 건축물에 재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주는 만큼 예방이 중요하다. 하지만 안전 규제가 건축물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일반화하여 도입되는 경향이 있어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있어 왔다. 하나의 대응 방안으로서 데이터 기반의 건축물 안전 연구의 성과들을 살펴보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건축과 공간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를 고민해본다. 정책이슈 : 데이터로 본 건축물 재난사고 현황..
-
대규모 재난에 따른 이재민의 임시주거시설 사례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유형이 변화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면서 임시주거시설에 장기간 거주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공급되고 있는 임시주거시설의 경우, 단기 구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재민과 지역사회의 후유증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임시주거시설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대규모 재난을 경험한 해외 사례를 통해 단순 수용이 아닌, 이재민..
auri 소식 4건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환용, 이하 AURI)은 4월 3일(목) 14시, 건축공간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를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은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해지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정책수요..
-
제2의 메르스(MERS) 사태 방지를 위해서는 병원시설 관련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제2의 메르스(MERS) 사태 방지를 위해서는 병원시설 관련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 건축도시공간硏, 병원건축 전문가 100인 대상 설문조사 실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는 지난 5월 20일 발생해 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한 메르스 사태를 분석하여, 국내 병원 건축설비 환경의 문제점과 향후 호흡기 감염병 피해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축도시..
-
"열악한 병원 건축설비도 메르스 확산 원인"(연합뉴스, 2015.11.10.)
기 사 명 : "열악한 병원 건축설비도 메르스 확산 원인" 언론사명 : 연합뉴스 보도일자 : 2015.11.10. 기 자 명 : 이재영 ▷기사전문 바로가기 기 사 명 : “제2 메르스 사태 방지 위해 병원시설 관련 제도 개선 시급하다 ” 언론사명 : 국토일보 보도일자 : 2015.11.10. 기 자 명 : 하종숙 ▷기사전문 바로가기 ※ 이 외에도 언론사 - 헤럴드경제, 오마이건설..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병원건축 전문가 100인 대상 설문조사 실시 결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병원건축 전문가 100인 대상 설문조사 실시 결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건축·도시정책정보센터는 메르스의 병원 내 감염 원인을 파악하고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자 병원 건축・설비・보건・의료 분야 전문가 10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15.10.12. ~ ’15.10.26.)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병원 건축설비 환경의 문제점과 향후 호흡기 감염병 피해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