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건
정기간행물 2건
-
개인소장 한옥자료의 DB구축 방안 - 김동현선생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ㆍ 일반인의 한옥에 대한 인식제고 및 한옥문화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한옥자료 DB와 기존 유관기관의 대국민 한옥관련 정보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 ㆍ 개인소장 한옥자료 DB구축의 의의와 파급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개인별 한옥DB를 주제로 하는 다학제적인 세미나, 워크샵, 학술행사 등의 개최 및 지원 ㆍ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DB구축을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DB구축 사업에 대한 지원과 이에 따른 결과물을 기존 한..
-
국내외 사례를 통해 본 현충시설의 가치 향상 전략과 시사점
* 이 글은 이상민 외.(2022). 현충시설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향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보훈정책에서 현충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유공자의 공훈과 보훈의 가치를 일반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것이다.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담조직의 운영 및 지원,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문가와 시민의 참여, 그리고 일상 공간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국민들에게 보훈의..
단행본 2건
-
지역관리회사와 마을재생: 군산시 지역관리회사 사례
제1장 민관협력 마을재생과 지역관리 회사 1. 민관협력 마을재생을 위한 지역관리회사 필요성 006 2. 지역관리회사의 개념 정리 011 제2장 군산 마을재생을 만든 사람들 1. 민관협력 018 1) 공공이 기획하고 민간이 주도한 ‘영화타운 프로젝트’ 018 2) 캠프를 기획하고 운영한 ‘액티브로컬 컨소시엄’ 021 3) 캠프의 선생님 ‘액티브로컬 마스터’ 026 4) 영화시장에 정착한 &..
-
와본 김동현 구술집
《 목차 》 발간사 김동현 선생님이 들려주신 이야기들 제1장 성장과정 1937-1949 유년 시절과 해방정국 1950-1954 중학생 시절과 한국전쟁 1955-1957 고등학생 시절 건축과 선택 1958 임천 선생님과의 인연1959 한양대학교 입학 제2장 문화재 연구 입문 시절 1959 감은사지 발굴 1959-1960 경천사탑 실측 1960-1961 군입대와 남대문 공사 1962-1967 박물관 근무 시절1967-1970 고건축단장 집필 제3장..
auri 소식 2건
-
auri 국가한옥센터 『와본 김동현 구술집』 발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가 『와본 김동현 구술집』을 발간했다. 이 책은 건축 문화재 분야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는 김동현 선생의 인터뷰와 자료를 연대기별로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하여 엮은 책이다. 우리나라 초기 문화재 발굴 및 유지보수 사업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고 전달함으로써 문화유산 보전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기획되었다. 『와본 김동현 구술집』에는 김동현 선생이 문화재의 수리..
-
건축 문화재 보존의 살아있는 역사 -auri 국가한옥센터‘와본 김동현 구술집’발간-
건축 문화재 보존의 살아있는 역사 - auri 국가한옥센터 '와본 김동현 구술집' 발간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김대익) 국가한옥센터(http://www.hanokdb.kr) 는 『와본 김동현 구술집』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 『와본 김동현 구술집』은 건축 문화재 분야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는 김동현 선생의 인터뷰와 자료를 연대기별로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하여 엮은 책이다. 우리나라 초기 문화재 발굴 및 유지보수 사업에 대한..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