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건
정기간행물 2건
-
공공건축 설계공모 당선안 변경에 대한 발주자와 설계자의 인식
* 이 글은 임유경 외. (2022). 설계공모 이후 건축 생산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공공건축 제도 개선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14년 공공건축 사업에 대한 설계공모 우선 적용이 의무화되고, 2020년부터 대상이 확대되어 연간 1,000건 내외의 공공건축 설계공모가 시행되고 있다. 설계공모를 통해 우수한 공공건축물을 조성한다는 제도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설계와 공사 과정에서 당선 원안이 최..
-
소규모 건축시장 현황 진단 및 정책 과제
요약 ° 그동안 661㎡ 미만의 소규모 건축물은 전체 건축시장의 약 90%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건축 조성 절차에 대한 제도가 미흡하여 건축물의 품질 확보에 한계 ° 이에 2018년 「건축법」 개정으로 건축주 직접시공 대상의 규모를 200㎡ 이하로 강화하였으나 소규모 건축시장에 대한 실태 파악이 미흡한 상황에서 소규모 건축물의 품질 확보를 견인하는 데 한계 ° 소규모 건축시장의 현황 진단을 바탕으로 국민 대..
auri 소식 2건
-
[사설] 설계의도 구현업무,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2019.5.3. 건축사신문)
기 사 명 : [사설] 설계의도 구현업무,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 주요내용 : '설계의도 구현 표준업무 및 대가기준 마련 연구' 내용 인용 언론사명 : 건축사신문 보도일자 : 2019.5.3. ▷ 관련 기사 바로보기
-
올해부터 서울시 공공사업에 ‘설계자의 설계의도구현업무’ 의무화 (2018.02.01.건축문화신문)
기 사 명 : 올해부터 서울시 공공사업에 ‘설계자의 설계의도구현업무’ 의무화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설계의도 구현 표준업무 및 대가기준 마련 연구’ 연구보고서 언급 언론사명 : 건축문화신문 보도일자 : 2018.02.01. 기 자 명 : 장영호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