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3건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지난 10년의 변화와 성과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는 사전검토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지원 업무를 통해서 다양한 공공건축에 관한 일들을 수행하여 왔다.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는 10년 동안 무엇을 위해서 달려 왔고, 향후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정책이슈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지난 10년의 변화와 성과 시론: 공공건축, 품질을 넘어 품격을 갖추어야 할 때_김용미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10년의 중간점검_엄운진 지역과 함께하는 ..
-
국내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의 조성 현황과 이슈
* 이 글은 유예슬, 손은신. (2023).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에 따른 공공공간 조성현황과 이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최근 딩크족 및 1인 가구 증가 등 가족 구성이 변화하고 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문화가 형성되면서, 반려동물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공공간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국내에 설치된 123개소의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의 조성 현황과 이..
-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11년 성과와 향후 과제
2011년부터 매년 한옥 활성화와 홍보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주최하고 있는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이 올해 12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이 뜨거운 성원으로 공모전에서는 11년 동안 총 6,223점이라는 방대한 양의 작품을 접수받았고, 계획준공사진영상으로 구분하여 한옥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과 아이디어에 대하여 시상하였다. 공모전의 작품접수 및 시상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국가의 건축도시 및 한옥 관련 정책과 ..
auri 소식 5건
-
군산시민문화회관 운영자설계자 선정
군산시민문화회관 운영자설계자 선정 - 군산시민문화회관 민관협력형 운영자 및 설계자 선정 절차 완료 - □ 금회 선정된 프로젝트팀 ‘거인의 친구들’은 군산에서 활동하는 생활예술가 그룹, 인천의 복합문화공간 운영 중인 콘텐츠기업과 서울 소재의 재생건축분야 설계자로 구성된 프로젝트팀이다. □ 김중업 건축가의 유작으로 알려진 군산시민문화회관은 2013년 운영 중단 후 활용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
아파트에 ‘개방형 야외 발코니’ 설치 확대 추진(2021.9.29. 경향신문)
기 사 명 : 아파트에 ‘개방형 야외 발코니’ 설치 확대 추진 주요내용 : 건축공간연구원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외부 발코니 활성화 방안' 주요내용 인용 언론사명 : 경향신문 보도일자 : 2021.9.29.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나운동의 거인, 시민문화회관을 만나러 오세요
나운동의 거인, 시민문화회관을 만나러 오세요 - 군산 시민문화회관 재생과정 공유행사‘거인의 초대’개최 - □ 건축공간연구원과 군산시는 오는 5월 19일(수)부터 23일(일)까지 5일간 군산시민문화회관에서 ‘거인의 초대’ 행사를 개최한다. ◦ ‘거인의 초대’는 2013년 폐관된 시민문화회관의 재생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건축공간연구원과 군산시가 함께 개최하는 행사로, 군산시민들을 시..
-
군산시민문화회관 재생과정 공유전시 & 야외공간 새활용 실험 '거인의 초대' 개최
- 일시: 2021. 5. 19.(수) ~ 2021. 5. 23.(일), 총 5일간 - 장소: 군산시민문화회관 - 대상: 군산시민문화회관 재생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누구나 - 참가비 : 무료 - 주최주관: 건축공간연구원, 군산시 - 협력: 1.5도클럽, 군산대학교, 군산시도시재생지원센터, 군산에인(ㅅ)카페, 꽃신도깨비, 꽃일다청년공예협동조합, 나운상가번영회, 로컬프렌들리, 마이홈 디자인, 망치디자인, 무띵크, 블루머스타드스튜..
-
'(가칭) 사암유스센터 조성사업(리모델링)' 설계용역 공고 안내
(가칭)사암유스센터 조성사업(리모델링) 설계용역 제안공모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 제2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 규정에 따라「(가칭)사암유스센터 조성사업(리모델링) 설계용역」의 설계공모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가. 용 역 명 : 남양주시 사암유스센터 조성 사업 설계 용역(리모델링) 나. 용 역 비 : 301,884천원(부가가치세 포함) 다. 과업대상 : 남양주 유기농테마파크 건물2동(박물관,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