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건
정기간행물 2건
-
의료시설의 원내감염 예방을 위한 건축적 지원 방안
요약 ° 의료기술과 시설의 발달에 따라 원내감염의 대상공간질병의 범위를 확대하여 정의하고, 보다 적극적 원내감염 예방을 위한 노력을 수행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 ° 원내감염이 개인과 국가에 미치는 경제사회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의료시설의 원내감염 예방을 위한 건축환경 조성에 정책적인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 ° 보편적 원내감염 예방을 위한 건축환경 조성은 외래부 공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
요양병원의 코로나19 감염확산 원인과 시설계획 대응방향
* 이 글은 김꽃송이 외. (2021). 감염병 확산 시나리오별 요양병원 시설계획 대응전략.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기존 요양병원에서 원내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감염확산 원인과 감염관리계획의 주안점을 고려하여 유연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①생활방역단계, ②지역적 유행단계, ③전국적 유행단계 이상 3단계로 감염병 확산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ls..
단행본 1건
auri 소식 14건
-
2025 건축공간연구원-(사)한국여성건설인협회 공동세미나 개최
• 행 사 명 : 건축공간연구원-(사)한국여성건설인협회 공동세미나 • 일 시(안) : 2025. 4. 22.(화) 14:00 • 장 소 :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중회의실8(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 • 주 제(안) : 제도적 기반을 둔 AI 그리고 ESG • 주요 참석자 - 원외 : 박보경 (사)한국여성건설인협회 회장 외 회원, 강경호 ㈜디자인그룹건축사무소 사장, 최신영 차앤권법률사무소 파트너변호사 외 - 원내 : 박..
-
2023 제1차 AURI-광역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심포지엄 개최
- 2023 제1차 AURI-광역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심포지엄 개최 - 경기도 건축자산 진흥 정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과 경기도(도지사 김동연)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국토교통부, 경기도건축사회, 성균관대학교가 후원하는 “2023 제1차 AURI-광역지자체 건축자산 진흥 정책 심포지엄”이 5월 31일 경기도청 구청사에서 개최된다. ㅇ 건축공간연구원은 「정부출연연구기..
-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 행사명 : (사)균형성장혁신 국회 지역균형발전포럼 발대식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 일시 : 2023년 1월 9일 (월) 13:00 ~17:00 -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사)균형성장혁신 국회 지역균형발전포럼 발대식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토론회 일시 : 2023. 1. 9(월) 13:00 ~ 17:00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 주최/주관 : 박성민송재호박수영.김영배 국회의원..
-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
건축자산 정보체계 구축! - 전국의 건축자산 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국가와 지자체의 건축자산 진흥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건축자산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12월 12일(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 건축공간연구원 건축문화자산센터에서는 2020년부터 ‘건축자산 보전‧활용 플랫폼’의 개발을 진행하여 2021년 11월에 시범서비스를 시작하..
-
2022 지자체 건축자산 정책협의회 개최
2022 지자체 건축자산 정책협의회 개최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지자체의 건축자산 진흥 정책을 지원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2022 지자체 건축자산 정책협의회”를 11월 9일(수) 인천의 베스트웨스턴 하버파크 호텔에서 개최한다. □ 지자체 건축자산 정책협의회는 건축공간연구원 건축문화자산센터가 주최‧주관하고,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가 후원하는 정부-지자체-연구기관 협의회이다. ..
직원 2건
부서 | 직급 | 성명 | 업무 | 전화번호 |
---|---|---|---|---|
연구혁신팀 | 연구원 | 권영란 | 성과관리 및 기관평가 대응, 원내 데이터 활용 교육 지원 | 044-417-9867 |
연구혁신팀 | 위촉연구원 | 하정민 | 성과관리 및 기관평가 대응, 원내 데이터 활용 교육 지원 | 044-417-9884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