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7건
-
국토경관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경관법」 개정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8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0 제2장 경관법에 따른 경관관리 현황과 주요 쟁점 1. 경관법 및 제도 운영 현황 16 1) 경관법 제․개정 현황 16 2) 경관법 관련 지침 현황 20 3) 지자체 경관조례 제정 현황 25 4) 경관관련 조직 구성 현황 27 5) 경관계획 수립 현황 28 6) 경관심의 현황 29 7) ..
-
알기 쉬운 건축설계 저작권
제1장 건축설계 저작권 해설서의 활용목적 제2장 건축설계 저작권의 정의 및 관련 제도 1. 저작권법 개요 4 1) 저작권법과 지식재산권 4 2) 저작권법의 목적 4 3) 저작물 및 저작자의 정의 5 4) 저작권의 발생 및 저작권별 성격 5 5) 저작권의 제한과 보호기간 5 2. 건축설계 저작권의 정의 6 1) 건축설계 저작물의 정의 6 2) 건축설계 저작권의 정의 6 3) 건축설계 저작권의 의의 10 3. 건축설계 저작권 관련 제도 ..
-
도시재생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연구
연구요약 1. 연구배경 및 목적 ⅰ 2. 도시재생제도의 특성 및 주요내용 ⅱ 3.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시행에 따른 한계 및 문제점 ⅳ 1)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추진 배경 및 개요 ⅳ 2) 도시재생선도지역 사업추진과정의 한계 및 문제점 ⅵ 4. 도시재생특별법 개선안 ⅷ 1) 도시재생제도 개선안 도출과정 ⅷ 2) 도시재생계획체계 관련제도 개선방안 ⅸ 3) 도시재생 추진체계 관련 제도개선 방안 ⅻ 4) 도시재생 사업시행 관..
-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근린 재생 자원으로서의 도시 유휴공간 1. 도시 유휴공간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도시 유휴공간 개념의 확대 2) 도시 유휴공간의 의미와 가치 2.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문제와 잠재력 1)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문제 2) 국내 도시 유휴공간의 잠재력 3. 근린 재생 자원으로..
-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2. 연구범위 1) 공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3. 단독주택지 재생 관련 기존 연구성과 및 2009년 연구결과 1) 기존 연구성과와 차별성 2) 2009년 연구결과와 차별성 4.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연구방법 5. 연구추진과정 제2장 단독주택지 재생의 의미와 접근방법 1...
정기간행물 4건
-
소규모 주거지 정비,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요약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개념 및 적용대상 - 가로주택정비사업이란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에서 종전의 가로를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으로 비교적 기반시설이 양호한 노후주거지에 적용 가로주택정비사업제도의 개요 - 소규모 블록단위의 지주 공동개발방식으로 예정구역 지정과 구역지정 절차 없이 기존 용도지역 체계 내에서 주민의 자발적 정비의지에..
-
도시 경관경쟁력 평가모델의 정책적 시사점
요약 도시 경관경쟁력 평가모델과 시범적용 결과 - 도시 경관경쟁력 평가모델이란 한 도시가 얼마나 많은 경관자원을 보유하고, 사람들이 얼마나 해당 도시를 아름답다고 인지하는지와 해당 도시의 경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얼마나 높은지 등에 대해 비교 우위를 평가하는 수단임 - 우리나라 특별시와 광역시를 대상으로 경관경쟁력 평가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결과 부산의 경관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
보행안전 관련 사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
최근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보행 관련 법령의 개선이 이어지면서, 기존의 보행안전 개선사업의 추진 배경과 내용에 있어서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이라는 당면과제에 대응하면서, 적정에너지적정비용의 도시공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현재의 보행안전 관련 사업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사업의 합리적인 추진 방향과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보행 관련 법률..
-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이해와 제1차 역사문화권 정비기본계획 주요 내용
* 이 글은 건축공간연구원, 온공간연구소. (2021). 역사문화권 정비 5개년 기본계획 연구.문화재청.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고대 역사문화권의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비하여 그 가치를 알리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에 근거한 제1차 역사문화권 정비기본계획에서는 국가 및 지자체 정책 추진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국가의 비전과 방향, ..
auri 소식 6건
-
올해의 한옥대상, 자연과 조화롭고 독창적인 '하동 한옥문화관'
국토교통부(장관:노형욱)가 주최하고 건축공간연구원(원장:이영범)이 주관한 2021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에서「하동 한옥문화관」이 준공부문 ‘올해의 한옥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아울러, 계획부문에서는 「상상루」가, 사진부문에서는 「소나기와 고택」이, 영상부문은 「한옥으로」가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은 한옥의 우수성을 발굴하고 한옥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2011년부터..
-
건축도시공간연구소-강릉시 업무협약 MOU 체결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강릉시 업무협약(MOU) 체결- 2018년 동계올림픽 베뉴도시 강릉시의 도시이미지 향상-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소장 제해성)는 강릉시(시장 최명희)와 9월 30일(월) 강릉시청에서 2018 동계올림픽 베뉴도시 강릉시의 도시이미지 향상과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지원을 통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등 공간환경의 디자인 품질 향상 기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
부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개소
부산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개소한국일보/ 2013.05.20/ 박상준기자 sjpark@hk.co.kr부산시 마을 만들기 사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마을 만들기 지원센터’가 22일 오후 2시 문을 연다.지원센터는 수영구 광안동 옛 보건환경연구원 1층에 자리를 잡아 앞으로 행정과 주민 간 협력을 유도하는 민ㆍ관 협력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이날 개소식에는 허남식 시장과 김석조 시의회 의장, 서병수 국회의원, 주민 등 300여명이..
-
주거복지사업 장기전략이 필요하다_서수정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위원
서수정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위원 부동산 시장의 한파가 시작된 지 오래됐지만 그 누구도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현수막이 걸리기 무섭게 치솟던 딱지 값도 옛말이고, 뉴타운사업 지정을 받았다고 폭죽을 터뜨렸던 적이 있었던가 싶기도 하다. 뉴타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대규모 전면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점진적인 사회적 재생으로 주거지 정비가 변해야 한다는 패러다임 논의도 고조되고 있..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개소식 동정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8월 17일 금요일 3시, 국내 최초 건축·도시 관련 국책연구소의 탄생을 알리는 개소식을 가졌습니다. 이날 개소식에는 이용섭 건설교통부 장관, 김진애 건설기술, 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위원장, 이종오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강길부 국회위원, 최병선 국토연구원 원장 등 우리나라 건축·도시 관련 각계 인사들이 참석하여 건축·도시분야 국책연구소의 출범을 축하하고 우리나라의 새로운 건축 도..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