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17건
-
동네생활권 개념 도입 및 정책적 활용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6 1) 연구범위 6 2) 연구방법 7 3) 연구 추진절차 9 3. 선행연구 검토 10 1) 선행연구 현황 10 2) 본 연구의 차별성 11 제2장 동네생활권 개념 및 도입 필요성 1. 동네생활권 관련 논의 및 정책동향 15 1) 도시공간의 변화와 동네생활권 개념 논의 15 2) 생활권 관련 이론 및 정책동향 21 ..
-
서울시 도로다이어트사업의 성과 및 효과평가 연구 - 2018~2019년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제2장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해외 도시들의 관련 정책 1.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관련 법제도 8 1)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주요 설계 기법 8 2) 도로다이어트 관련 국내 법제도 및 정책 현황 10 3) 도로다이어트 사업 시..
-
2017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현황과 평가
1. 도로다이어트의 이해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6 도로다이어트의 효과 8 도로다이어트의 사례 12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18이전 사업 현황 22 2. 도로다이어트의 실제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개요 28 SITE 01. 노원구 초안산로 32 SITE 02. 용산구 이태원로 42 SITE 03. 송파구 양산로2길 52 SITE 04. 구로구 경인로53길 62 SITE 05. 성동구 뚝섬로3길 72 SITE 06. 도봉구 도봉로110길 82 SITE 07. 광진구 아..
-
2016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현황과 평가
01. 도로다이어트의 이해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6 도로다이어트의 효과 7 도로다이어트의 사례 8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9 02. 도로다이어트의 실제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사업 개요 SITE 01. 중구 퇴계로 SITE 02. 강동구 아리수로82길 SITE 03. 노원구 노원로1가길 SITE 04. 동작구 여의대방로44길 SITE 05. 서대문구 증가로 SITE 06. 구로구 구일로10길 SITE 07.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SITE 08. 관악구..
-
택티컬 어바니즘 기반의 가로활성화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 1) 선행연구 검토 3 2) 본 연구의 차별성 43. 연구의 방법 및 주요 내용 5 제2장 택티컬 어바니즘의 개념과 특징 1. 택티컬 어바니즘의 개념 7 2. 택티컬 어바니즘 이전의 도시이론 10 1) 뉴 어바니즘 10 2) 뉴 어바니즘 이후의 대안적 도시이론 15 3. 택티컬 어바니즘의 경과 및 특징 21 1) 현대..
정기간행물 7건
-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재창조의 실현
최근 기존 정비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점진적이고 지속가능한 장소단위의 계획 수립이나 사업 추진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치적으로도 국민행복을 화두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삶의 공간을 만들고 가꾸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도시재창조, 마을단위 계획, 마을만들기 등 도시정책 패러다임이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물리적 환경 개선만을 위..
-
도시재생 액셀러레이터를 통한 빈 점포 재생 방안: 액티브로컬
요약 ° 현행 도시재생 교육은 사업 현장과의 괴리, 실행 단계 맞춤형 교육 부재, 핵심 이해관계자 참여 미흡, 지나친 이론 중심의 교육이라는 한계가 드러남 °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은 6개월가량의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 수의 참여자에게 집중적인 멘토링과 교육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데모데이(demo-day)나 공공 피칭(public pitching)을 통해 이를 구체화함으로써 사업역량을 단기간에 강화하는 과정 ° 건축..
-
건축도시 관련 공모형 지자체 지원사업의 정책개선 방안
요약 최근 건축도시환경 개선과 관련한 중앙부처의 지자체 대상 공모형 지원사업이 다수 추진되어 왔으나, 사업간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고, 단기간에 사업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일회성 사업 위주로 진행 지역지원 사업의 전략적 목표를 지역역량 강화에 두고, 지방정부의 자구노력을 자극하면서 지역이 스스로 필요한 사업을 발굴기획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지원사업의 추진체계..
-
지방도시로 간 청년의 지속가능한 지역살이
인구감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역은 청년인구 유입이나 관계인구 확보를 주요 대응전략으로 고려하고 있고, 이미 지자체와 민간 차원에서 청년의 지방이주와 지역살이를 유도하기 위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청년 유입을 통한 지방소멸 대응전략과 정책 동향, 지방도시로 간 청년들의 사례를 살펴본다. 정책이슈 : 지방도시로 간 청년의 지속가능한 지역살이 시론: 로컬에서 더 행복한 청년들_정석 pdf 원문보기..
-
코로나 이후, 건축과 도시공간의 변화를 생각하다
19세기 중반 콜레라가 영국을 강타하면서 배관ㆍ하수 시스템 등 현대 도시를 지탱하는 위생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이처럼 건축과 도시공간은 위기를 마주하고 대응하며 끊임없이 재편되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사스(SARS)와 신종인플루엔자, 메르스(MERS), 코로나19를 연달아 겪어내면서 건축 도시공간은 또 다시 변화의 시점에 접어들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건축과 도시공간이 본..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10건
-
[CSF 2022] 도시가 사라진다...초광역화와 지방소멸에 대한 화두를 던지다(2022.7.7 e대한경제)
기 사 명 : [CSF 2022] 도시가 사라진다...초광역화와 지방소멸에 대한 화두를 던지다 주요내용 : 서수정 선임연구위원, '공간의 재편, 초광역화 미래진단' 세션의 강연 진행 언론사명 : e대한경제 보도일자 : 2022.7.7.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2020 STEPI 국제심포지엄' 개최 안내
stepi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stepi 국제 심포지엄 stepi international symposium 2020 과학기술혁신정책을 혁신하라:'위드 코로나'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과학기술혁신정책 2020.12.4 실시간 온라인 심포지엄(유튜브 or 페이스북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을 검색하세요) 모시는 글 코로나 공존 시대와 함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재편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
“2018 민관협력 도시활성화 국제세미나” 개최
“2018 민관협력 도시활성화 국제세미나” 개최 - 공공과 민간이 함께 바꾸는 도시의 새로운 기준 모색 -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 이하 auri) 주최로 12.4일(화) 오후 5시 서울 연남장에서 “2018 민관협력 도시활성화 국제세미나: 갑을 말고 파트너로-공공과 민간이 함께 바꾸는 도시의 새로운 기준”을 개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BOOT UP, 건축도시 START UP」 발간 - 빈 집, 빈 점포를 재생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 넣는 ‘건축도시스타트업’의 성장 이야기 담아 - 인구감소 시대, 원도심에 생겨난 빈 집, 빈 건물을 활용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는 ‘건축도시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어떻게 스타트업이 되었을까? * 건축도시스타트업은 건축과 도시의 경계를 허물고 분야 간 융합을 통한..
-
서울시 경관, 역사도심·한강변·주요 산 중심으로 중점관리한다(2016.07.13. 서울경제)
기 사 명 : 서울시 경관, 역사도심·한강변·주요 산 중심으로 중점관리한다 주요내용 : 이상민 연구위원, 7월 14일 '서울시 경관계획 공청회' 종합토론에 참여 언론사명 : 서울경제 보도일자 : 2016.07.13. 기 자 명 : 이재유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기 사 명 : ‘서울 경관계획’ 역사 중심 재편 언론사명 : 환경일보 보도일자 : 2016.07.14. 기 자 명 : 나영호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