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4건
-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등에 관한 법령 정비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83. 선행연구 검토 10 제2장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현황분석 1.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선행연구 검토 112. 국내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제도의 운영현황 분석 39 제3장 해외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제도 분석 1. 미국의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제도 분석 632. 일본의 건축물 유지관리 및 해체 관련 제도 분석 76 제4장..
-
건축물 사용설명서 도입에 관한 정책 방향 연구
제1장 서론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목적 32. 연구범위 및 방법 41) 연구범위 42) 연구방법 53. 선행연구 검토 6제2장 국민 권익 보호 및 공정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정보 전달체계 비교분석1. 우리나라 소비자 보호 관련법령 현황 112. 공산품 및 건축물 정보 전달체계 비교분석 131) 공산품 정보 관련제도 및 전달체계 132) 건축물 정보 관련제도 및 전달체계 223. 소결 : 현행 건축물 정보 관련제..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정비를 위한 체계 및 제도 기반 연구
제1장 서론 / 11. 관련 정책 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 목적 / 4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4제2장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및 정비의 필요성 / 71.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 72.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실태조사 / 251) 실태조사 개요 / 252) 실태조사 대상지 / 253) 실태조사 항목 / 264) 사례별 실태조사 결과 / 285) 종합결과 요약 / 763.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이 주변 지역에 미치..
-
건축설계엔지니어링 산업동향조사 및 활성화방안 연구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기대효과 3. 연구의 범위 4. 연구 수행방법 및 추진체계 5. 선행연구 검토 6. 용어의 정리 Ⅱ. 산업기술관점에서 건축설계엔지니어링 산업 1. 산업적 관점에서 건축설계엔지니어링 산업의 중요성 1) 산업적 관점에서 건축설계엔지니어링 산업 논의의 필요성 2) 건축설계엔지니어링 부문의 산업 분류 현황 3) 현행 법률에..
정기간행물 11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지자체 경관심의 운영 현황과 개선 제안
* 이 글은 심경미 외. (2023). 개발사업 경관심의 운영현황 및 제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 및 AURI 경관센터 내부자료를 정리하여 작성함 2013년 「경관법」 전부 개정으로 사회기반시설사업개발사업건축물에 대한 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된 후, 경관심의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국토경관 관리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제도 운영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지자체 경관심의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경관심의..
-
인구변화를 고려한 복지시설 취약지역 개선 전략
요약 •저출산고령화 등 영유아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영유아 및 고령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지시설의 입지와 개소 수 또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복지시설 취약지역 개선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영유아 및 고령자 인구 변화가 크고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역 중 경상북도 경주시, 충청남도 서천군을 선정하여 복지시설 서비스 수준을..
-
건축도시 분야 민간전문가 제도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요약 •도시의 삶의 질을 결정하고 주민의 커뮤니티 공간이 되는 공공건축 및 공간환경에 대하여 장소 중심의 종합적 디자인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공공사업을 효과적으로 운영관리하고자 민간전문가 제도를 도입 •영주시(2009), 서울시(2012)에서 민간전문가를 위촉하였고, 국토교통부의 지속적인 지원사업 운영을 통해 민간전문가 제도를 운영하는 지자체가 점차 증가하면서 2019년 7월에는 제도의 운영에 도움이 되는..
-
보행자 안전을 위한 지하주차장 출입구 개선 방안
* 이 글은 조영진 외. (2022). 주차장 구조설비기준 및 제도개선 연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지하주차장 출입구는 보행자 안전이 최우선이어야 하는 공간이나, 잦은 보행자 사고 발생으로 보행자의 불안감이 높다. 지하주차장 출입구 사고는 경사로에서 운전자 사각 발생, 경보장치 작동 미비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연구를 통해 경사로 완화구간 설치를 통한 운전자 전방 시야 사각지대..
단행본 1건
auri 소식 6건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auri brief 287호 발간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7호 발간 □ 건축공간연구원은 11월 8일, auri brief 287호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를 발간, 재난 발생 시 적합한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요약문]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
부실공사 관리-감독 ‘건축안전센터’, 지자체 절반 설치 안했다(2023.9.14. 동아일보)
기 사 명 : 부실공사 관리-감독 ‘건축안전센터’, 지자체 절반 설치 안했다 주요내용 : 지역건축안전센터 관련 건축공간연구원 설문 결과 인용 언론사명 : 동아일보 보도일자 : 2023.9.14.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가로수길 노천카페 절반이 불법…테라스 영업 합법화 추진(2016.10.02. 연합뉴스)
기 사 명 : 가로수길 노천카페 절반이 불법…테라스 영업 합법화 추진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에서 진행한 서울 시내 7개 상업화 지역의 가로변 건축물대장 조사 결과 언급 언론사명 : 연합뉴스 보도일자 : 2016.10.02. 기 자 명 : 윤보람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기 사 명 : 가로수길 노천카페 절반이 불법? 언론사명 : 한겨례 보도일자 : 2016.10.02. 기 자 명 : 김남일 기자 ▷관련 ..
-
경남도내 내진 대상 건축물 절반 내진설계 미비(2016.07.07. 경남신문)
기 사 명 : 경남도내 내진 대상 건축물 절반 내진설계 미비 주요내용 : 김용국 부연구위원, 우리나라 내진 기술 및 내진설계 기준 관련 언급 언론사명 : 경남신문 보도일자 : 2016.07.07. 기 자 명 : 고휘훈, 도영진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기 사 명 : 전국 건물 10곳 중 9곳 내진설계 無...지진에 '무방비' 언론사명 : 에너지경제 보도일자 : 2016.07.06. 기 자 명 : 송두리 기자 ▷관련 뉴..
-
육아를 위한 도시공간과 육아스트레스 설문조사
유모차를 위한 도시 도시의 보행환경에서 가장 약자는 누구일까요. AURI의 행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동휠체어의 속도는 평균 1.27 m/s로 보행자와 큰 차이가 없는 반면, 유모차는 평균 0.58m/s로 일반적인 보행속도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보행자에 비해 덩치가 큰 유모차는 속도마저 느리기 때문에 여러 보행자들의 흐름에 방해가 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아기를 돌보는 사람들은 아기를 동반하여..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