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7건
-
현대 정원도시의 다원적 기능 구현을 위한 계획방향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의 방법 9 3. 선행연구 검토 11 제2장 정원도시의 개념과 다원적 기능 1. 정원도시 이론의 등장과 전개 13 1) 사회개혁을 위한 틀로서 정원도시 이론 등장 (1기: 1898-1945) 13 2) 정원도시 이론의 변주: 국가별 정원도시 모델 (2기: 1946-1985) 27 3) 기후변화 시대에 되살..
-
택티컬 어바니즘 기반의 가로활성화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 1) 선행연구 검토 3 2) 본 연구의 차별성 43. 연구의 방법 및 주요 내용 5 제2장 택티컬 어바니즘의 개념과 특징 1. 택티컬 어바니즘의 개념 7 2. 택티컬 어바니즘 이전의 도시이론 10 1) 뉴 어바니즘 10 2) 뉴 어바니즘 이후의 대안적 도시이론 15 3. 택티컬 어바니즘의 경과 및 특징 21 1) 현대..
-
유휴공간의 전략적 활용 체계 구축 방안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9 제2장 유휴공간 관련 정책 추진 현황 1. 유휴공간의 개념 13 1) 유휴공간의 개념 13 2) 유휴공간의 중요성 14 2. 유휴공간 관련 정책 추진 현황 15 1) 국공유지 중심의 유휴공간 활용 15 2) 빈집을 중심으로 한 정책 추진 21 3. 소결 30 제3장 유휴공간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략적 활용 1. 전략적 활용 유사개념..
-
국가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공공민간분야 활용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9 1) 주제별 선행연구현황 9 2) 선행연구와 차별성 12 3.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15 1) 시간적 범위 152) 연구내용 및 방법 15 제2장 건물에너지데이터 활용 동향 19 1. 국내 건물에너지데이터 관련 동향 19 1) 정책개발 및 시행 19 2) 시스템 개발 및 구축 23 2. 해외 건물에너지 데이터 활용 동향 26 1) 정책개발 및 시행 26 2) 시스템 개발 및..
-
한옥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인문학적 가치 발굴 연구 (3)
제1장 머리말 1 1.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시리즈의 구성 2 2. 그간 연구의 성과 4 1) 국가한옥센터 한옥문헌 DB 4 2) 주요 연구성과 8 3. 한옥의 자연관 연구 추진방안 11 제2장 한국건축 단행본 서술에서 자연의 성격 13 1. 머리말 13 2. 자연스러움의 윤리적 차원 : 신영훈 17 1) 자연스러움의 의미 17 2) 자연스러움의 경제성 18 3) 자연스러움의 미학 19 4) 자연스러움의 보존과 ..
정기간행물 8건
-
급변하는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도시로 향하는 길
기성 도시는 건축물과 교통수단이 밀집되어 온실가스 배출의 원인이자 기후 재해에 인명・재산상 피해가 높아지는 장소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면서 동시에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도시와 건축물을 새로이 구상해야 할 때다. 정책이슈 : 급변하는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도시로 향하는 길 시론: 미래 변화에 대응한 한국형 탄소중립도시의 길_이승일 한국형 탄소중립도시의 실현 방안_윤은주..
-
국내외 사례를 통해 본 현충시설의 가치 향상 전략과 시사점
* 이 글은 이상민 외.(2022). 현충시설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향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보훈정책에서 현충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유공자의 공훈과 보훈의 가치를 일반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것이다.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담조직의 운영 및 지원, 공간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전문가와 시민의 참여, 그리고 일상 공간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국민들에게 보훈의..
-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을 위한 지표 개발과 정책제안
요약 ⦁ 최근 서울의 일부 상권이 임대료의 급등 등으로 국내에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 ⦁ 젠트리피케이션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갖고 있는 ‘양날의 칼’로,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정적 문제를 막기 위한 선제적 대응책은 적용시점이 매우 중요함 ⦁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해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정책을 펼치기에 앞서..
-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한 도시 -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 수립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은 건축의 공공성 실현을 목적으로 공공건축 혁신, 탄소중립도시 조성, 건축산업 육성 등 주요 현안에 대응하고자,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한 도시”를 비전으로 설정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제3차 건축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함께, 계획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공공건축’, ‘도시건축 통합계획’, ‘탄소중립’, ‘건축산업’의 ..
-
다시 생각하는 우리의 주거문화: 어떤 집에 살고 싶습니까?
우리의 삶에서 집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제 우리도 집을 ‘부동산’, ‘가격’이 아니라 ‘거주자’와 ‘삶’의 가치 측면에서 주거문화로 바라볼 때이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나라 주거문화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다양한 삶에 대한 요구, 이를 담을 다양한 주거에 대한 시도, 그리고 발전적 주거문화 형성을 위한 과제를 모색해 본다. 정책이슈 : 다시 생각하는 우리의 주..
단행본 1건
세미나·포럼 2건
-
- 행사명 : 2024 정원도시 정책 포럼
- 주제 : 국내 정원도시 정책 및 계획 현황과 발전 방향
- 기간 : 2024-08-28 ~ 2024-08-28
- 장소 : 국립세종수목원 대강당
- □ 프로그램 시간 식순 세부내용 14:00~14:10 개회 및 축사 개회사 이영범 건축공간연구원 원장 축사김용관 산림청 산림보호국 국장 14:10~15:30 발제1 (광역지자체) 정원도시 서울 정책 추진현황 박수미 서울특별시 정원도시국 정원도시정책과 공원녹지기획팀 팀장 발제2(기초지자체) 국민고향 정선군의 정원도시 정책과 계획 남계원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
- 행사명 : 2014 auri 국가한옥센터 제4차 한옥포럼
- 주제 : 실험적인 한옥짓기 – 알뜰한 한옥짓기
- 기간 : 2014-12-05 ~ 2014-12-05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
- ❚2014 auri 국가한옥센터 제4차 한옥포럼 개요 • 주 제 : 실험적인 한옥짓기 – 알뜰한 한옥짓기 • 일 시 : 12월 5일(금) 14:00-18:00 • 장 소 : 명동 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주 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 후 원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발제 및 토론자 &b..
auri 소식 27건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 개최 - 2024년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성과 공유 및 교류 확산을 위한 세미나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환용, 이하 AURI)은 4월 3일(목) 14시, 건축공간연구원 8층 대회의실에서‘2024 AURI 연구성과 보고회’를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RI)은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 건축, 삶이 행복해지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정책수요..
-
‘정원도시 만들기 열풍’ 지자체들마다 뜨거운 경쟁(2025.3.17. 그린매일)
기 사 명 : ‘정원도시 만들기 열풍’ 지자체들마다 뜨거운 경쟁 주요내용 : 건축공간연구원, '2024 정원도시 정채포럼: 국내 정원도시 정책 및 계획 현황과 발전 방향' 에서 언급했던 미래 정원도시 관련 내용 소개 언론사명 : 그린매일 보도일자 : 2025.3.17.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조치원 문화정원, 세종 1호 “우수건축자산” 등록
조치원 문화정원, 세종 1호 “우수건축자산” 등록 -세종시, 1935년 조성된 정수장을 전시카페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 -국토부, 도시건축자산 창출을 위해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 연내 수립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와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2월 6일 세종시 조치원 문화정원, 1927아트센터, 장욱진 생가 등 3곳을 세종시 우수건축자산 제1호에서 제3호로 최초 등록한다고 밝혔다. □ &..
-
"건축공간연구원 공동주최자로 참여, 총 10개 본상 선정" 2024 아시아도시경관상에 대한민국 2개 작품 본상 수상
2024 아시아도시경관상에 대한민국 2개 작품 본상 수상 - 건축공간연구원 공동주최자로 참여, 총 10개 본상 선정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 외 4개 기관이 주최한 ‘2024 아시아 도시경관상’에서 「고덕 국제화계획지구 함박산 중앙공원 조성사업(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상의 전환! 도시공간 혁신의 새로운 시작 “오천그린광장&그린아일랜드”(전라남도 순천시)」가 ‘본상&rsq..
-
‘쾌적한 초록 도시 만들자’... 제주 도시숲 정책 방향 찾는다(2024.10.7. 국민일보)
기 사 명 : ‘쾌적한 초록 도시 만들자’... 제주 도시숲 정책 방향 찾는다 내 용 : 김용국 연구위원, '정원도시 개념과 역할 및 사례' 주제발표 언론사명 : 국민일보 외36건 보도일자 : 2024.10.7.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직원 1건
부서 | 직급 | 성명 | 업무 | 전화번호 |
---|---|---|---|---|
건축정책본부 | 위촉연구원 | 최영운 | 정원도시, 스마트+빌딩 리뉴얼 | 044-417-9869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