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보행환경과 행태: 조사분석 보고서(Ⅰ)
제1장 조사의 배경 및 목적 / 1 1. 조사의 배경 / 1 2. 조사의 목적 / 3 제2장 보행환경과 행태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 5 1. 자료수집 및 분석기법의 흐름 / 6 2. 조사항목별 이론정리 / 14 1) 보행속도 / 14 2) 보행밀도 / 16 3) 보행량 / 18 4) 보행경로 / 20 5) 보행자 활동 / 21 6) 가로시설물 / 23 3.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설정 / 25 1) 보행환경 조사항목 / 26 2) 항목별 조사분석 방법 / 27 제3장 보행..
-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방법 및 흐름 1) 연구의 방법 2) 연구의 흐름 II. 공공성 개념의 변화와 현대적 공공성 1. 공공성의 기초 개념 1) 공공성의 어원적 의미 2) 공공성의 사전적 의미 3) 분야별 공공성의 의미 2. 현대적 공공성 개념 1) 공공성 의미의 재해석 : 공적, 공정, 공익, 공론적 공공..
정기간행물 6건
-
공공건축의 질적 향상을 위한 설계자 선정방식 개선
요약 공공건축은 공공의 예산으로 조성되는 국가자산이면서 시민에게 생활서비스를 제공하고지 역복지 및 커뮤니티 향상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진 생활기반공간이다. 그러나 그동안 토목 SOC시설에 비해 공공건축에 대한 관심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최근의 열풍적인 공공디자인 또한 공공건축 보다는 교량, 스트리트퍼니쳐 등의 공공시설에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의 사례에서도 그 나라의 건축도시환경의 품격을 높..
-
보행도시 구현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요약 ° 기존의 도시정책, 교통정책에 있어 구조적 변화 없이 틈새시장으로서 수행되는 보행정책은 그 성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음 ° 오히려 성급한 시행으로 보행정책의 부정적인 인식만 양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시정책 전반에 걸쳐 보행도시의 가치와 잠재력을 일관성 있게 구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정책제안 °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을 위하여 보행에 대한 데이터의 수집분석에 차량과 유사한 수준..
-
서울시 도로다이어트 현황과 평가
요약 ° 온실가스 감축, 교통체증의 완화, 보행안전성의 증대, 매력적인 도시환경의 조성 등 다양한 이유에서 기존 도시의 차량공간을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는 도로다이어트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차량공간을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면서 도시교통체계를 개선할 뿐 아니라, 에너지의 소비, 지역의 활성화, 교통사고 저감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사업임 ° 대규모 토목공..
-
법령 개정 이후 지역건축위원회 심의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 이 글은 이여경 외. (2022). 시도 광역자치단체 건축위원회 심의제도 운영 현황 및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8(12), 107-118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2020년 4월 건축심의 대상 및 심의 기준을 한정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시행령 개정 이후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7곳(41%)만이 건축위원회 심의 기준을 개정하였고, 심의 지역을 일부 지역으로 축소하여..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민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범죄 피해 두려움에 대한 인식
* 이 글은 임보영 외. (2023). 외국인 밀집지역의 근린환경 실태 분석: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관점에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국내 체류 외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밀집지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외국인 밀집지역은 다양한 문화가 섞이는 과정에서 긴장과 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공간이며, 이로 인해 거주 내외국인들의 범죄 불안감 또한 높은 곳이다. 외국인 밀집지역의 ..
auri 소식 6건
-
기획재정부 '신통방통 e나라도움' 카페 개통 이벤트
기획재정부에서는 e나라도움(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사용자간에 의사소통 및 정보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신통방통 e나라도움' 지식카페를 개통하고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다 음 - 1. 카 페 명 : 신통방통 e나라도움(네이버카페) 2. 카페주소 : https://cafe.naver.com/enaratong * 인터넷망에서만 접속 가능 3. 카페목적- e나라도움 관련 최신 매뉴..
-
건축물·공간 환경 설계 가치 높이기 주력해야…가격 입찰 지양하고 우수한 설계자 선정 방식 적용 필요 (2018.08.01.건축문화신문)
기 사 명 : 건축물·공간 환경 설계 가치 높이기 주력해야…가격 입찰 지양하고 우수한 설계자 선정 방식 적용 필요 주요내용 : 서수정 선임연구위원, 도시재생뉴딜에서 건축·도시공간의 역할과 활용전략 인용 언론사명 : 건축문화신문 보도일자 : 2018.08.01. 기 자 명 : 김혜민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
서울특별시 '제8회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 개최
단독(다세대)주택 보존 및 공동체 회복을 통해 지역특성과 커뮤니티가 살아있는 정주환경을 조성하고, 주거환경이 불량한 지역의 계획적 소규모 정비를 통해 도시기능 회복을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자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제8회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학생공모전』을 다음과 같이 시행합니다. □ 공모전 개요 1. 공모자격 : 대학생 및 대학원생(고등교육법 제2조의 학교) - 마을만들기 : 5인..
-
건축설계 발주제도의 과제와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에 거는 기대
건축설계 발주제도의 과제와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에 거는 기대한국건설신문/ 오피니언 논단/ 2013.05.08염철호 공학박사_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 건축계의 숙원인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이 4월 30일 정기국회를 통과해 제정됐다. 건설공사의 하위용역으로서 건설기술관리법에서 다루어져 왔던 건축설계가 명실 공히 지식기반서비스산업으로서 법적근거를 가지게 됐으며, 건축설계산업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
-
마을만들기 사업, 뉴타운처럼 밀어붙이면 실패
“마을만들기 사업, 뉴타운처럼 밀어붙이면 실패” 2012-03-05 18:53:56 / 정유진 기자ogun77@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 ㆍ시민사회단체 토론회… 서울시 “뉴타운 대안 아니다”마을만들기 사업에 참여 중인 시민사회단체 전문가들이 “아직 실험 단계에 불과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뉴타운 출구전략의 대안으로 비쳐지는 것은 위험하다”며 다양한 지역적 상황에 따른 복합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을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