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저층주거지 유지관리를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 및 제도개선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흐름 4.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저층주거지 유지관리 지원정책 현황 및 필요성 1. 법제도 현황 및 최근 변화 1) 기존 주택관리 정책 2) 최근의 제도적 변화 2. 저층주거지 유지관리 관련 사업 추진 현황 1) 중앙정부 지원사업 2)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 3) 민간주도 사업 4) 현행 제도 및 지원사업의 한계 3. 저층주거지 ..
-
공공공간을 매개로 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목적 2. 연구내용 및 범위 1) 연구내용 2) 연구범위 3. 기존 연구성과 4. 연구방법 및 과정 1) 연구방법 2) 연구진행과정 제2장 원도심 활성화와 공공공간의 역할 1. 도심쇠퇴의 순환구조와 공공공간의 위기 1) 도심쇠퇴 원인 및 순환구조 2) 도심쇠퇴의 부정적 순환구조 형성 3) 원도심의 공공공간 위기 2. 도심활성화 전략으로서 공공공간 ..
정기간행물 2건
-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이 글은 서수정 외. (2023). ’23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모니터링 연구. 해양수산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해양수산부는 지속 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해 2022년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시범사업은 어촌생활권 중심의 생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어촌경제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시범사업은 지역관리회사 역할을 수행하는 앵커조직이 4년간 현장에 상주하면서 지역사회문제..
-
지속가능한 지역관리운영을 위한 다주체 참여시공 DIT 마을재생 방안
요약 ⦁ 근린단위 도시재생을 위한 거점공간 조성 시 공공 주도의 사업에서는 운영자나 주민들의 공간 애착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민간 주도의 사업에서는 리스크 대비 초기투자비용이 과다하여 지속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 발생 ⦁ 최근 소규모 공간재생사업 추진 시 비용 경감과 운영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공간 조성 기법으로서 참여형 시공인 셀프 인테리어, DIT(Do It Together) 방식이 국내외에서 확산되고 있음..
단행본 1건
auri 소식 2건
-
지속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지속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 – 어촌활력증진 지원 시범사업 추진 현황을 중심으로 - 건축공간연구원 auri brief 282호 발간 □ 건축공간연구원은 9월 6일, auri brief 282호 ‘지속가능한 어촌어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도와 과제’를 발간, 인구감소와 고령화, 기후변화로 인한 어업생산성 저하로 쇠퇴하는 어촌의 활력을 도모하기 위한 어촌활력증진지원시범사업의 추진내용과 사례..
-
'제4회 auri 마을재생 세미나 - 마도로스의 밤' 개최
제 4회 auri 마을재생 세미나 마도로스의 밤 한국의 지역관리회사 운영자들이 TEAM으로 살아가는 길 9.16(수) 오후 2시 youtube facebook auriTV team 개항로 - 이창길대표 team 영화타운 - 조권능 대표 team 괜찮아마을 - 홍동우 대표 team RTBP - 김철우 대표 ▍ 추진 배경 및 목적◦ 최근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자원을 결합활용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선순환 경제 생..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