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건
-
생애주기를 고려한 공작물 관리체계 마련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주요내용 5 3) 연구수행과정 8 3. 선행연구 고찰 및 차별성 9 제2장 공작물 현황 분석 및 제도 변화 고찰 1. 공작물 안전사고 및 지자체 정책 사례 14 1) 공작물 안전사고 및 정책 사례 조사분석 개요 14 2) 공작물 관련 사건사고 사례 15 3) 공작물 관리 관련 지자체 정책 사..
-
건축물 옥상공간의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 및 방법 4 1) 연구의 주요내용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범위 3.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7 제2장 옥상녹화 및 태양광발전 관련 법제도 검토 9 1. 옥상녹화 관련 법제도 검토 9 1) 옥상녹화 관련 법제도 2) 옥상녹화 관련 법제도적 개선 요구사항 2. 옥상 태양광발전 관련 법제도 검토 13 1) 옥상 태양광..
-
용도지역제도를 고려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정책 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7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8 1) 연구의 주요 내용 8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9 3) 연구 방법 9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11 1) 주제별 선행연구 현황 112)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8 제2장 관련 이론 및 정책 동향 23 1.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주요 내용 및 한계 23 1) 온실가스 감축 논의의 전개 23 2..
정기간행물 4건
-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질의응답 사례를 통해 본 공공건축 사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 이 글은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자문에 대한 응답 DB 및 ‘공공건축 자문에 대한 응답 사례집 2022-2023’을 바탕으로 작성함 국가지자체 등 공공기관은 공공건축을 조성할 때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 등 관련 법령을 준용하여야 한다. 국가 공공건축지원센터는 2022~2023년 동안 총 1,196건의 공공건축 관련 질의를 받았다. 지방자치단체가 32.3%로 가장 많은 질의를 하였고, 리모델링 관련 질의는 신축보다..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지난 10년의 변화와 성과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는 사전검토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 지원 업무를 통해서 다양한 공공건축에 관한 일들을 수행하여 왔다.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는 10년 동안 무엇을 위해서 달려 왔고, 향후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정책이슈 :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지난 10년의 변화와 성과 시론: 공공건축, 품질을 넘어 품격을 갖추어야 할 때_김용미 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 10년의 중간점검_엄운진 지역과 함께하는 ..
-
건축물 옥상공간의 녹화 및 태양광발전시설 설치 활성화 방안
요약 ° 고밀개발로 인해 가용 토지면적이 부족한 도심지에서는, 건축물 옥상공간을 공원, 텃밭 등으로 녹화하거나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급증 ° 중앙정부 및 다수의 지자체는 관련 법, 제도를 통해 옥상녹화 및 태양광발전시설의 옥상 설치를 지원하고 있으나 이는 일률적 점(點) 단위의 건축물 옥상공간 이용 활성화 방식이므로, 면(面) 단위의 도시적, 집단적..
단행본 1건
auri 소식 2건
-
점촌1동 골목길 반딧불(태양광센서등) 설치(2020.5.29. 문경뉴스)
기 사 명 : 점촌1동 골목길 반딧불(태양광센서등) 설치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경찰청의 범죄예방환경설계 관련 연구결과 인용 언론사명 : 문경뉴스 보도일자 : 2020.5.29.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테스트_auri brief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auri brief No. 200 2022.2.00 지석환 연구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이은석 부연구위원 "그린뉴딜 정책을 전면에 내세운 미국 정부의 출범이 한국판 그린뉴딜의 추진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단순한 낙관에 그치지 않고 이를 한국판 그린뉴딜의 성공적인 추진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대응 방향을 모색하고 실행해야 ..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