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7건
-
공유유산 개념을 적용한 국외사적지 활용관리 정책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대상 및 범위 7 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1) 선행연구 검토 9 2) 본 연구의 차별성 10 5. 연구의 흐름 12 제2장 공유유산 개념의 국외사적지 적용 방향 1. 국외사적지 조사․관리 정책 동향 13 1) 문화재청 정책 동향 14 2) 국가보훈부 정책 동향 19 3) 외교부‧교육부‧산림청 정책 동향 22 4) 기존 국외사적지 정책의 ..
-
국가기본도 구축 체계 합리화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및 차별성 8 3. 연구수행 방법 및 흐름도 11 제2장 국가기본도 현황 및 역할 정립 1. 국가기본도 관련 제도 및 현황 분석 14 2. 국가기본도 활용 현황 분석 25 3. 소결 및 시사점 48 제3장 국가기본도 관련 해외사례 분석 1. 미국 NSDI 52 2. 일본 국토기본도 59 3. 영국 OS MasterMap 66 4. 소결 및 시사점 72 제4장 국가기본도 관련 정책 분석 및 연계..
-
거주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문화 정책과제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주거문화의 개념 및 연구 문제 설정 5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1 5. 연구 흐름도 14 제2장 거주여건 변화와 주거문화 트렌드 1. 거주여건의 변화 15 2. 주거문화의 트렌드 28 3. 소결 40 제3장 주거 및 주택 관련 정책 현황 1. 주거 및 주택정책의 흐름 43 2. 주요 정책 추진 현황 54 3. 소결: 정책특성 종합 및 과제 도출 67 제4장 주거..
-
스마트건축 산업화 모델 및 제도 기반 확충에 관한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1) 연구의 범위 8 2) 연구의 방법 8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0 제2장 산업환경 변화 및 국내 건축산업의 당면과제 1.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와 건축산업 이슈 15 1)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 양상 15 2)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건축산업 이슈 21 2. 국내 건축산업 현황 및 문제점 32 1) 국내 건축산..
-
건축규제 특례제도의 합리적 운영을 위한 협의조정제도 도입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6 2. 연구 범위 및 방법 7 1) 연구 범위 7 2) 연구 방법 8 3) 연구수행과정 9 3.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10 1) 선행연구의 주요내용 10 2) 본 연구의 차별성 11 제2장 건축규제 특성 및 협의조정에 대한 고찰 1. 건축규제 특례 유형 및 운영방식 15 1) 건축규제의 개념과 특징 15 2) 건축규제 특례의 유형..
정기간행물 16건
-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 연구
요약 1. 서론 2. 주거문화진단 3. 해외 주택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주거문화 측면의 시사점 4. 주거문화 관련 주택정책제도 분석 5. 주택정책 방향 설정 6. 연구의 의의와 한계
-
단독주택지 재생을 위한 주택 관리 및 정비 지원방안
요약 1. 서론 : 주거지 정비방식의 패러다임 전환 2. 사회경제적 재생 동반실현을 위한 단독주택지 재생의 의미 3. 국내 단독주택지 재생관련 정책 및 사업추진 성과 4. 단독주택지 관리 및 정비수요 파악 5. 단독주택지 관리 및 정비를 위한 정책지원방안6. 연구성과 및 한계
-
공원녹지의 질적 관리를 위한 제도 도입 방안 - 영국의 Green Flag Award를 중심으로
요약 영국의 Green Flag Award는 좋은 공원과 녹지를 제공하기 위해 1996년 시작된 수상제도로, 공공공간 관리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국가 표준기준이자 인증으로도 활용됨 Green Flag Award, Green Flag Community Award, Green Heritage Site Accreditation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운영함 친근함, 매력(A welcoming place), 건강, 안전, 보안(Healthy, safe and secure), 청결 및 유지 상태(clean and well mainta..
-
저층주택 개보수 지원을 위한 주택정책 개선 방안 - 미국의 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요약 최근 기후변화 및 그에 따른 환경문제 대두, 인구감소 등으로 신규 개발을 통한 도시확장에서 기존 시가지의 관리로, 신규 주택공급에서 기존 주택 제고관리로, 도시정책 및 주거지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 이러한 변화에 맞춰 미국의 킹 카운티와 시애틀에서 운영하고 있는 주택 개보수 지원 프로그램의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국내 주택 개보수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 정책제안 주택 개보수 및..
-
프랑스 파리시의 건축도시환경 기초현황자료 구축과 활용의 시사점
요약 기성시가지가 가진 문제점 진단에서 시작하여 재생 방식을 찾는 새로운 도시계획 패러다임시대(Barcelona Model)에 있어 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건축도시환경 기초현황자료 구축은 시대적 요구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관한 법률’에서도 선계획-후개발을 지향하며친환경적 국토관리를 위하여 기초자료 조사 및 평가체계를 강화하였음 프랑스에서는 1950년대부터 도시 관리 수단으로서 공간정보시스템이 도입되기 시..
단행본 2건
-
건축서비스산업의 혁신
《 목 차 》 Ⅰ. 건축서비스의 혁신 01. 건축서비스산업이란? 06 02. 서비스 혁신의 개념 08 Ⅱ.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01. 프롭테크, 컨테크의 시대가 다가온다 12 02.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건축서비스 17 03. 제조업과의 융합을 통한 서비스산업의 확대 25 04. 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플랫폼 사업 31 05. 건축서비스 혁신 플랜의 필요성 36 Ⅲ. 서비스 혁신의 아이디어 01. 3D프린팅을 통..
-
주거지재생 패러다임의 전환 : 단독주택지 재생
머리말 1. 주거지재생의 패러다임 전환 2. 주거지재생의 뿌리, 지키고 가꾸어야 할 단독주택지 3. 단독주택지 재생, 패러다임의 전환과 '마을만들기'의 시도 4. 새로운 시도, 마을만들기의 한계와 갈등 5. 주거지재생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세미나·포럼 7건
-
- 행사명 : 제6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 주제 : 걷기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
- 기간 : 2022-12-02 ~ 2022-12-02
- 장소 : LW컨벤션 그랜드불룸 및 온라인 동시 생중계(행정안전부)
- □ 프로그램 기조연설 어린아이 시작으로 본 보행안전│국제보행자연맹 회장 기흐트 반 웨그(벨기에) session 1 보행 친화적 도시를 위한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 주제발표 1 보행진화적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 설계 전략│건축공간연구원 보행환경연구센터장 오성훈 주제발표 2 Delivering safer streets│GDCI 프로그램 디렉터 Paul Supawanich(미국) session 2 보행자..
-
- 행사명 : 저층주거지 소규모주택 재생을 위한 집수리 실행방안 토론회
- 주제 : 저층주거지 집수리 실행방안 정책제언 및 토론
- 기간 : 2018-04-10 ~ 2018-04-10
- 장소 :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
- ❚개요 • 주 제 : 저층주거지 집수리 실행방안 정책제언 및 토론 • 일 시 : 2018년 4월 10일(화) 14:30 ~ 17:30 • 장 소 : 서울시청 본관 8층 다목적홀 • 주 최 : 서울특별시 • 주 관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제 및 토론자 • 사 회 김지환 | 서울시 주거환경사업팀장 • 주제발표 1. 저층주거지 소규모주택(단독) 재생사업 정책 제언 이용의 ..
-
- 행사명 : 2013 제1회 AURI 건축도시포럼 _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주제 :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기간 : 2013-05-21 ~ 2013-05-21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2013 제1회 건축도시포럼 개요 • 주 제: 마을에서 시작하는 도시공간재창조 • 일 시: 5월 21일(화) 14:00-17:00 • 장 소: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주 최: 건축도시공간연구소한국도시설계학회 • 주 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개회 및 축사 • 개 회: 제해성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소장 / 한국도시설계학회 회장 • 축 사: 서병수 새누리당 국회의원 ❚발표 및 토론자 • 기..
-
- 행사명 : 2012 제3회 AURI 건축도시포럼 _마을단위 도시관리정책
- 주제 : 마을단위 도시관리정책
- 기간 : 2012-11-29 ~ 2012-11-29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2012 제3회 건축도시포럼 개요 • 주 제: 마을단위 도시관리정책 • 일 시: 11월 29일(목) 14:00-17:40 • 장 소: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주 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주 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표 및 토론자 • 주제발표1. 국가주도 마을단위 정책의 변화 : 프랑스의 사례 임동근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강사 • 주제발표2. 공간..
-
- 행사명 : 2012 제2회 AURI 건축도시포럼 _도시계획, 공간에서 사람으로
- 주제 : 도시계획, 공간에서 사람으로
- 기간 : 2012-09-12 ~ 2012-09-12
- 장소 :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2012 제2회 건축도시포럼 개요 • 주 제: 도시계획, 공간에서 사람으로 • 일 시: 9월 12일(수) 14:00-18:00 • 장 소: 명동 포스트타워 대회의실 • 주 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주 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발표 및 토론자 • 주제발표1. 주거지 재생에 대한 공공개입의 한계와 대안 조상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제도정책연구센터 센터장 • 주..
auri 소식 19건
-
[PEOPLE] 건축공간연구원 이영범 원장 “정보기술 패러다임 변화 능동 대응국제교류 강화… 국민 삶의 질 제고 역량 집중”(2024.12.18. 국토일보)
기 사 명 : [PEOPLE] 건축공간연구원 이영범 원장 “정보기술 패러다임 변화 능동 대응국제교류 강화… 국민 삶의 질 제고 역량 집중” 주요내용 : 이영범 원장 인터뷰 언론사명 : 국토일보 보도일자 : 2024.12.18.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청년가구의 주거현황과 과제" 2024 AURI 주거정책포럼 개
2024 AURI 주거정책포럼 개최 - 청년가구의 주거현황과 과제 -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11월 28일(목) 오후 2시부터 ‘청년가구의 주거현황과 과제’를 주제로‘2024 AURI 주거정책포럼’을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이하 auri)은 국무조정실 산하 건축도시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국민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포용적 연구..
-
한국형 탄소중립도시 정책 심포지엄, 6월 8일 국회에서 개최
한국형 탄소중립도시 정책 심포지엄, 6월 8일 국회에서 개최 -에너지, 건물, 교통, 자원순환, 흡수원, 형태개선 등 도시 공간에서의 종합적 접근 모색- □ 범국민적인 기후변화 대응의 입법정책 거버넌스를 추구하는 국회기후변화포럼은 건축공간연구원, 국토연구원, 그리고 한국환경연구원과 함께 오는 8일‘한국형 탄소중립도시 정책 심포지엄’을 국회에서 개최한다. □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
-
제6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개최
제6회 보행안전 국제세미나 개최 The 6th International Seminar on Pedestrian Safety 2022. 12. 2 fri 14:00~17:00 LW컨벤션 그랜드볼룸 행정안전부 유튜브 채널 생중계 예정 프로그램 기조연설 : 어린아이 시각으로 본 보행안전 | 국제보행자연맹 회장 기흐트 반 웨그(벨기에) session 1 보행친화적 도시를 위한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 주제발표1 - 보행친화적 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 설계 전략 |..
-
한국형 혁신적 포용교육2045 정책포럼 개최
165차 KEDI 교육정책포럼/ 제 7차 NRC교육혁신연구회 포럼 한국형 혁신적 포용교육 2045 정책포럼 2021.1.19(화) 14:00~16:30 유튜브 생중계(KEDI TV) 주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주관 한국교육개발원 후원 교육부 EBS 교육방송 프로그램[안] 사회: 유경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시간:13:30~14:00 내용: 등록 시간:14:00~14:30 내용: 개회식 개회사.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환영사. 반상진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축사..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