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6건
-
건축서비스산업 역량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3. 주요 용어 정의 13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6 Ⅱ 산업 역량 지표 고찰 23 1. 산업 역량 지표 구축 방법 23 2. 산업 역량 지표의 요건 26 3. 산업 역량 지표 사례 29 4. 건축서비스산업 역량 지표체계 구축 방향 56 Ⅲ 건축서비스산업 역량 지표 개발 59 1. 건축서비스산업 역량 정의 및 지표의 활용 목적 59 2. 건축서비스산업 ..
-
건축 아카이브 통합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5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1) 연구 범위 6 2) 연구 방법 7 제2장 국내외 건축 아카이브의 구축 과정 1. 건축 아카이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연구 9 1) 건축 아카이브에 대한 국제적 논의 9 2) 국내 건축 아카이브 연구 18 3) 디지털 인문학 연구 24 2. 해외 건축 아카이브의 구축 29 1) 해외의 주요 건축 아카이브의 현황 29 2) 국가별 건축 아카..
-
포용적 근린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선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7 1) 연구 범위 7 2) 연구 방법 13 3. 선행연구 검토 15 1) 선행연구 검토결과 152)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15 제2장 공원 기반 포용적 근린재생 정책의 필요성 1. 국내 공원 정책․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9 1) 공원의 다원적 가치와 기능 활용 미흡 19 2) 공원 면적 확충 중심의 정책과 제도 26 3) 도시재생 뉴..
-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계획에 관한 기초연구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주요내용 7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7 2) 연구 수행방법 12 3) 연구의 주요내용 13 3. 선행연구 성과분석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4 1) 선행연구 성과분석 142)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5 제2장 우리나라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도입 필요성 및 여건 27 1. 지역 공공시설 자산관리 개념 및 주요쟁점 28 1..
-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착안점 3)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및 기대효과 1) 연구 목적 2) 연구의 기대효과 3.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방법 3) 연구흐름도 4. 선행연구현황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 도시재생 관련 일반 선행연구 2) 도시재생사업단에서 진행 중인 연구 3)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제2장 공공..
정기간행물 4건
-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 방안
요약 1. 서론 2. 장소중심의 도시재생수단으로써 공공건축과 공공공간 활용의 필요성 3. 공공건축과 공공공간을 활용한 국내 중소도시 재생의 한계 4. 해외 도시재생정책의 전개와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사례 5. 국내 중소도시의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실태 6. 도심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의 기본방향 7.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로한 중소도시재생 프레임 워크 8.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을 매개..
-
영국 공원녹지 지표 운용 현황과 시사점
요약 ° 영국에서는 2010년 이후 중앙정부와 광역기관의 권한을 지방정부에 위임하는 지역주의(localism) 정책기조가 나타나면서, 공간계획체계도 광역 단위에서 지역 단위로 변화 ° 이에 따라 ‘계획정책문서’와 ‘계획정책방침’이 ‘국가 계획정책 프레임(NPPF)’으로 통합되었으며, NPPF에서 공원녹지에 대한 정책 방향을 제시 ° 영국에서 국가 차원으로 제시하는 공원녹지에 대..
-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11년 성과와 향후 과제
2011년부터 매년 한옥 활성화와 홍보를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주최하고 있는 대한민국 한옥공모전이 올해 12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국민들이 뜨거운 성원으로 공모전에서는 11년 동안 총 6,223점이라는 방대한 양의 작품을 접수받았고, 계획준공사진영상으로 구분하여 한옥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과 아이디어에 대하여 시상하였다. 공모전의 작품접수 및 시상 경향을 분석한 결과 국가의 건축도시 및 한옥 관련 정책과 ..
-
대규모 재난에 따른 이재민의 임시주거시설 사례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재난의 유형이 변화하고 피해 규모도 커지면서 임시주거시설에 장기간 거주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공급되고 있는 임시주거시설의 경우, 단기 구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재민과 지역사회의 후유증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임시주거시설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대규모 재난을 경험한 해외 사례를 통해 단순 수용이 아닌, 이재민..
단행본 1건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