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2건
-
공간정책의 인문학적 기초 조성을 위한 연구(Ⅱ)
서문 제1부 인식과 분절 1. 근대적 공간 환경과 인문학자의 유령학 2. 동물행태학 vs. 성찰적 인간: 도시공간 전개방식의 사례 3. 공간과 권력 : 푸코의 ‘또 다른 공간들’ 4. 영상물의 외부공간, 그 인식과 실제 제2부 장소의 조건 1. 문화환경 속 도시공간의 인문학적 재구성 2. 도시공간에서 이야기 만들기: 도시와 인간 소통의 미적체험 3. Design 서울, Text, 그리고 풍경 제3부 공간과 기억 1. 파괴와 복원의 정..
-
공간정책의 인문학적 기초조성을 위한 연구(I)
I. 서론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6 3. 연구의 방법 7 4. 연구의 기대효과 7 II. 우리나라의 인문학적 토양 10 1. 인문학의 범위와 현황 10 1) 인문학의 개념 10 2) 인문학 관련 학회 현황 12 3) 인문학 관련 대학부설 연구소 현황 13 4) 인문사회 분야 연구활동 현황 16 2. 인문학 위기와 인문정책 21 III. 건축도시공간과 인문학 30 1. 건축도시공간 분야의 인문학적 한계 30 2. 건축도시공간 연구 분야 인..
정기간행물 1건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3건
-
[박소현의 내 인생의 책]②우리 앞의 과거 - 데이비드 로웬설(2019.9.17. 경향신문)
기 사 명 : [박소현의 내 인생의 책]②우리 앞의 과거 - 데이비드 로웬설주요내용 : 박소현 소장, 문화유산 학자 데이비드 로웬설의 책 소개 언론사명 : 경향신문 보도일자 : 2019.9.17. ▷ 관련 기사 바로 가기
-
“정부 주도 공모사업, 이것이 문제다”
국가건축정책위원회(이하 국건위)와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가 공동 주최하는 제2차 건축도시정책토론회 ‘건축·도시 관련 공모사업의 성과와 과제’가 21일 논현동 건설회관 2층 중회의실에서 열렸다.2004년 참여정부 때부터 영국의 사례를 벤치마킹에 국내에 적극 도입되기 시작한 공모형 사업,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국토해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정부 관계부처가 대략 5개나 된다. 한때 수십 개의 공모사업이 진행..
-
“가장 좋은 박물관은 도시 자체다” (손세관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열린 광장] 가장 좋은 박물관은 도시 자체다 손세관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중앙일보] 입력 2011.09.24 00:10 / 수정 2011.09.24 00:10 모든 것이 디지털로 치환되는 시대에도 우리는 매일 옷을 입고 밥을 먹고 누워서 쉴 곳이 필요하다. 디지털 매체가 더 발달하면 시각과 청각뿐만 아니라 후각·미각·촉각도 매체로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첨단의 시대에 오히려 박물관 관람..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