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건
-
서울시 도로다이어트사업의 성과 및 효과평가 연구 - 2018~2019년 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제2장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해외 도시들의 관련 정책 1.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관련 법제도 8 1) 도로다이어트의 개념 및 주요 설계 기법 8 2) 도로다이어트 관련 국내 법제도 및 정책 현황 10 3) 도로다이어트 사업 시..
-
보행편의지수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3. 선행 연구 검토 7 제2장 보행편의 개념과 측정 1. 보행편의성 및 보행편의지수 개념 13 2. 보행편의성 측정을 위한 평가 지표 및 평가 도구 사례 16 3. 보행편의지수 개발을 위한 시사점 29 제3장 보행편의지수의 개발 1. 기본 원칙 및 평가 대상 31 2. 보행편의지수의 지표 구성 33 3. 보행편의지수의 측정 방법 48 제4장 보행편의지수의 시범 ..
-
2017 보행자우선도로 현황과 평가
1. 보행자 우선도로의 이해 개념 및 법적 근거 6 사업의 배경 및 추진 경과 7기존 사업 현황 8 2. 보행자우선도로의 실제 2017년도 사업 개요 24 SITE 01 종로구 통일로12길 30 SITE 02 종로구 종로31길 40 SITE 03 성동구 성덕정17길 50 SITE 04 광진구 아차산로51,53,55길 60 SITE 05 동대문구 한천로40길 70 SITE 06 성북구 삼선교로10길 80 SITE 07 강북구 도봉로87길 90 SITE 08 노원구 한글비석로20길 100 S..
정기간행물 2건
-
안전속도 5030 그 다음 과제는? 저속의 도로환경에서 보행안전을 위한 제안
“안전속도 5030은 속도보다 안전이 중요하다는 원칙을 도시부 도로에 전면 적용했다는 점에서 속도관리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시행 초기 반발과 우려도 있었지만 보행자 사망자수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등 실질적인 개선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향후 더욱 적극적인 속도관리 정책을 위한 보완점으로 속도 관련 요인과 기준들을 정비하고, 50km/h와 30km/h 적용 도로의 차이를 고려하며, 도로환경과 특성에 따라 속도관..
-
건축서비스산업,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다
2014년 「건축서비스산업 진흥법」시행 이후 5년의 시간이 지났다. 법 시행과 맞추어 건축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고, 2018년 제1차 건축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이 수립되면서 건축서비스의 개념과 역할이 보다 명확히 규명되었다. 최근 사회 전 분야에서 미래 산업과 혁신을 통해 성장을 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식기술 기반의 건축서비스산업 역시 보다 혁신적인 대안을 요구받고 있다. 이번..
단행본 1건
auri 소식 3건
-
국내・외 보행안전 전문가 모여 보행사고 줄이기 해결책 모색
국내・외 보행안전 전문가 모여 보행사고 줄이기 해결책 모색 - 미국일본포르투갈 등 전문가 참여, 보행안전 정책 방안 논의 - 건축도시공간연구소(소장 박소현)는 12월 12일(수) 행정안전부, 한국교통연구원, 손해보험협회와 함께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걷기 좋고 안전한 보행도시 만들기”를 주제로 「보행안전 국제세미나」를 개최한다. 금년에 네 번째로 개최되는 「보행안전 국제세미나」는 국내‧..
-
자동차가 장악한 뒷길, 보행자우선도로로 정비된다 (2018.10.31.뉴시스)
기 사 명 : 자동차가 장악한 뒷길, 보행자우선도로로 정비된다 주요내용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서울시 보행자 우선도로 조성에 참여 및 관련 관계자 인터뷰 언론사명 : 뉴시스 보도일자 : 2018.10. 31. 기 자 명 : 박대로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
보행자 밀어내는 '보행자 우선도로'…사고 위험 ↑(2018.01.14. MBC 뉴스데스크)
기 사 명 : 보행자 밀어내는 '보행자 우선도로'…사고 위험 ↑ 주요내용 : 오성훈 도시연구본부장, 서울시 '보행자 우선도로' 정책 운영 관련 인터뷰 언론사명 : MBC 뉴스데스크 보도일자 : 2018.01.14. 기 자 명 : 윤정혜 기자 ▷관련 뉴스 바로가기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