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건축과 도시공간
- Vol.22-Summer 2016
- 2016.06.30
- 조회수 3774
최근 미세먼지가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경유차, 화력발전소 등 화석에너지원의 소비를 줄이고 친환경에너지원 사용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기존의 여론과 맞물려 확산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저감 노력은 1997년 12월 교토의정서(COP3) 채택 이후 꾸준히 논의되어 왔지만 아직 목표달성까지 남겨진 숙제가 많다. 이러한 국제 협약의 현실적 이행을 위해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기후변화 적응에 힘을 기울이기로 Post 2020 계획을 파리협정(COP21)을 통해 천명하였다. 우리나라 건물 분야 에너지 소비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6.9%를 차지한다. 대부분 화석에너지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에너지 이용 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화석에너지사용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건축 분야의 노력은 녹색건축으로 집중되어 움직이고 있다. 녹색건축법이 2013년 2월에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현주소를 돌아보고 앞으로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미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기회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녹색건축의 현재와 미래
-
녹색건축 정책의 현재와 미래 _송시화pdf 원문보기
-
녹색건축 정책의 키스톤(keystone), 건물에너지 데이터 - 건물에너지 데이터로 구현되는 정책정보의 해외 사례와 시사점 _이은석pdf 원문보기
-
2025년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가능한가 - 노원구 제로에너지주택 실증단지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_이명주pdf 원문보기
-
태양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혁명 _권오현pdf 원문보기
auri 연구실 pdf 원문보기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녹색건축센터 - 지속가능한 건축·도시공간의 시작점 _조영진
통계 자료실pdf 원문보기
-
표준주택가격으로 살펴본 한옥의 특징은? _고영호
건축도시동향
세계의 건축·도시 싱크탱크pdf 원문보기
-
남캘리포니아 공간 계획 및 정책 연구의 싱크탱크, SCAG _안용진
장소탐방
auri소식 pdf 원문보기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년 연구과제 소개
-
2016 녹색건축 국제세미나 개최
-
2016 제1차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
2016 auri 국가한옥센터 제1차 한옥포럼 개최
-
제4차 건축도시정책연구네트워크 개최
-
2016 5월 녹색건축포럼 개최
-
2016 제2차, 제3차 지식강연회 개최
-
auri-esri Korea ArcGIS 세미나 개최
-
학교시설 CPTED 적용방안 사례 세미나 개최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MOU 체결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