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건축과 도시공간
- Vol.29 Spring 2018
- 2018.03.31
- 조회수 6436
저성장 추세 속에 대규모 개발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노후한 주거지 개선의 새로운 해법이 요구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역시 도시 경쟁력 강화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 뉴딜’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5년간 50조 원 투자, 전국 낙후지역 500곳을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밝힌 바 있다. 또한 도시재생 뉴딜정책의 향후 5년간 추진 전략을 담은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이 발표되며, 정책과 관련 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이번 로드맵은 ‘지역 공동체가 주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하는 도시 조성, 살기 좋은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국민이 체감하고 우리의 생활을 바꾸는 도시재생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호 정책이슈에서는 이러한 도시재생 뉴딜의 실천 전략으로, 국민의 삶터와 일상생활을 담는 ‘그릇’으로서 건축과 도시공간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정책이슈 : '장소만들기'에서 도시재생 뉴딜의 방법을 모색하다
-
시론: 내 삶을 바꾸는 도시재생 뉴딜 _김이탁 pdf 원문보기
-
도시재생 뉴딜에서 건축·도시공간의 역할과 활용 전략 _서수정 pdf 원문보기
-
빈집 및 빈 점포를 활용한 근린재생 노력과 가능성 _성은영 pdf 원문보기
-
이웃과 함께하는 소규모 주택 정비, 건축협정제도를 통한 도시재생 _여혜진 pdf 원문보기
-
공민연계 도시재생, 지속가능한 지역 살리기를 위한 변화 _윤주선 pdf 원문보기
-
도시재생과 CPTED의 접목을 통한 안전한 마을 만들기 _손동필 pdf 원문보기
-
보행공간 개선을 통한 도시재생의 공공성 실현 방안 _오성훈 pdf 원문보기
통계 자료실
-
새롭게 부각되는 한옥마을, 어떻게 조성되어야 할까? _이종민 pdf 원문보기
건축도시동향
- 해외동향
베를린의 협소주택 실험과 의의 _신희완 pdf 원문보기
건축 역사를 폭넓게 활용하는 건축가들 - 2017 시카고 건축 비엔날레의 단상과 시사점 _권용찬 pdf 원문보기
- 국내동향
주거서비스로 진화하는 공공임대주택 _김홍목 pdf 원문보기
서울시의 '디자인감리제도' 도입 배경과 향후 과제 _홍선기 pdf 원문보기
- 해외단신
런던AA건축학교 'AAXX 100' 행사 개최 pdf 원문보기
2018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 인도의 발크리시나 도시 pdf 원문보기
일본 국토교통성, 도시 스폰지화 대책으로 관련 법률 개정 pdf 원문보기
뉴사우스웨일스, 유치원 공간 질 제고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 시행 pdf 원문보기
바르셀로나, 아동을 위한 도시 속 놀이공간 확대 계획 발표 pdf 원문보기
멜버른, 골목길 녹화 시범사업을 통한 도시공간 개선 노력 pdf 원문보기
시애틀, 사회적 약자를 위한 'Transportation Equity Program' 추진 pdf 원문보기
세계의 건축·도시 싱크탱크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건축을 향하는 연구소, 영국BRE _현소영 pdf 원문보기
장소탐방
auri소식 pdf 원문보기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과제 소개
-
장소만들기를 위한 도시계획체계 개선방안 정책토론회
-
독일 건축박물관 전문가 초청세미나 개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