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일반연구보고서 2024-9
- 2024.12.31
- 247페이지
- 조회수 638
본 연구는 수요를 고려한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 지표와 진단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년도 과제로서 전차년도의 연구결과를 계승, 발전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당해연도의 연구에서는 주거수요층으로서 청년세대, 분석 자료의 대상으로 청년가구주로 한정하고, 비아파트 유형 밀집지역(저층주거지)에 대한 공간의 질적 수준과 수요 측정 지표와 방법 마련에 집중하였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대상 및 초점 6
1) 연구의 대상과 용어의 사용 6
2) 연구의 초점 8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 방법 10
3) 연구 흐름도 12
제2장 수요기반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의 필요성
1. 주거생활공간 관련 가치와 수요의 형성 14
1) 주거생활공간의 질을 구성하는 다양한 가치 14
2)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수요의 형성 17
2. 주거생활공간 관련 진단 현황과 한계 22
1) 주거생활공간 및 거주자 조사의 범용성 22
2) 도시 및 근린 진단의 고도화 24
3. 수요기반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의 필요성 33
제3장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 항목 및 도구 개발
1. 진단 항목 및 도구 개발 방향 36
1) 기본 방향 36
2) 진단 항목 및 도구 개발 과정 38
2. 주거생활공간 진단 항목의 도출 41
1) 진단 항목의 주요 가치 영역 구분 41
2) 진단 영역에 따른 주요 항목 도출 47
3) 진단 항목의 의미 51
3. 수요 기반의 주거생활공간 진단 도구 개발 53
1) 진단도구의 틀 53
2) 공간 단위와 조사 방법의 설정 54
3) 주거생활공간 진단 도구(안) 55
제4장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현황과 요구 분석
1. 분석의 개요 60
1) 분석 목적 60
2) 분석 대상 및 방법 61
2.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현황과 요구 65
1) 현 거주 주택 실태 및 주거비 부담 수준 65
2) 현 거주 주택 및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67
3) 가구구성을 고려한 현 주택 및 주거환경 관련 거주 적합성에 대한 인식 70
4) 현 거주주택 및 주거환경 선택‧포기 요인 71
5) 청년가구의 미래계획과 주거수요 74
3. 소결 90
1) 주거와 관련된 청년세대의 사회·경제적 현안 90
2) 청년세대의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수요 특성 91
3) 향후 수요계층을 위한 맞춤형 주거정책 마련에 대한 시사점 96
제5장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실태 모의 진단
1. 진단의 개요 98
1) 진단 도구 및 조사 방법 98
2) 분석 대상지 선정 101
2.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실태 모의 진단 119
1) 대상지 현황 119
2) 설문조사 응답 거주자 특성 122
3)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현황 124
4) 대상지별 진단 결과 145
5) 청년가구주 심층 면담 154
3.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의 시사점 161
1) 진단 지표의 적정성 161
2) 조사 방법의 적합성 164
3) 모의진단 결과를 반영한 진단의 개선 방향 165
제6장 결론
1.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 결과의 종합 170
1) 청년가구의 주거수요와 부담가능성 170
2) 청년가구의 주거생활공간 선택기준 171
3) 청년가구 거주 주거생활공간 현황 174
2. 수요기반 주거생활공간 실태진단 가능성과 한계 177
1) 가능성 177
2) 한계 및 과제 178
참고문헌 181
부록 191
Summary 223
성은영 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