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AURI-정책-2012-1
- 2012.08.08
- 180페이지
- 조회수 6255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 연구의 대상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4. 연구 흐름도
제2장 건축기획업무의 내실화 필요성
1. ‘건축기획’논의를 위한 전제
1) 기획의 개념 -‘사업’과 ‘설계’를 위한 사전수행업무로서 이중적 의미
2) 기획의 주체 - 기획전문가의 필요성과 역할
3) 기획의 과정 - 건축기획업무 절차의 일반화
2. 건축기획업무의 가치
1) 경제적 측면
2) 산업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물리·환경적 측면
3. 건축기획업무의 내실화 필요성 증대
1) 건축사업의 불확실성 증가
2) 상품적 가치 및 도지재생의 거점으로서 가치 고조
3) 건축기획업무 부실화 우려 및 개선 요구 증대
제3장 국내 건축기획업무 수행 실태 분석
1. 주체별(공공-민간) 업무 수행 현황 분석
1) 공공건축
2) 민간건축
2.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한 수행 실태 및 인식 조사
1) 조사개요
2) 건축기획업무에 대한 인식
3) 관련주체별 건축기획업무의 수행 실태
4) 정책개선 요구 사항
3. 국내 건축기획업무의 문제점과 한계
1) 전문성 확보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2) 부실한 기획업무 프로세스
3) 전문 역량 부족 및 총괄 전문가 부재
제4장 제도개선 및 실효성 확보 방안
1. 개선방향
2. 추진방안
1) 제도화 방안
2) 실효성 확보 방안
3. 실행계획(ACTION PLAN)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SMMARY
부 록
부록1. 영국 건축기획단계 건축가 및 관련 주체 간 역할
부록2. 일본 건축기획업무 범위·대가·CPD제도
부록4. 미국 Building PDRI(Project Definition Rating Index)
부록5. 건축기획(검토)설계·엔지니어링 계약서(양식)
부록6. 선행연구에서의 ‘건축기획’ 정의 및 주요업무
부록7. 건축기획업무 관련 법령
부록8. 건축사의 건축기획업무 보장에 관한 법적 해석
부록9. 공공건축지원센터를 통한 기획서 및 설계이행 지침(안)
부록10. 전문가 심층 인터뷰 양식
임현성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