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auri brief
학교시설의 협력적 설계 사례
- No.28
- 작성일 2010.05.10
- 조회수 1405
- 고은정 연구원
요약
· 경제·사회 발전으로 학교시설의 규모와 시설 수준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왔으나 첨단의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21세기에도 학교건축의 시설 노후 및 불량, 안전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 학교시설의 만족도는 사회적 수요와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될 때 높아질 수 있지만 발주처, 설계자, 교육청 관계자가 학교시설 설계과정을 주도하고 실제 학교시설을 사용하는 주체는 배제되고 있는 우리의 학교시설 설계 여건에서는 한계가 있다.
· 일본은 마을만들기의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학교만들기를 추진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학교와 마을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매력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학교시설복합화’나‘녹색학교(Green School)’등 학교시설의 품질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정책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서는 이해 관계자의 참여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은정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