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auri brief
국내 셰어하우스 현황 및 수요자 인식 조사
- No.169
- 작성일 2018.03.30
- 조회수 4779
- 변나향 부연구위원
요약
° 국내 1인 가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문제가 실업률 증가, 늦어지는 사회 진입 등과 함께 사회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
° 청년 1인 가구는 주거비 절감을 위해 셰어하우스 거주를 선택, 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셰어하우스가 청년 주거의 새로운 대안으로 대두
° 이에 국내 셰어하우스 조성 및 운영·관리 현황, 거주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셰어하우스 및 청년 주거 지원 정책의 토대를 마련할 필요
주요 결과
° 셰어하우스 조성 현황을 살펴본 결과 서울 지역에 집중 분포하고 아파트와 단독주택을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많으며, 2016년에서 2017년 사이 급격하게 증가
° 셰어하우스 운영 방식은 주택 소유자 직영, 전문 운영자 위탁 운영, 전대차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요 수요 계층은 20~30대
° 청년층 주거 실태 및 셰어하우스 인식 조사 결과 주거환경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주택 선택 시 최우선 고려 사항은 대중교통 접근성 > 주택자금 > 직장·학교 거리
° 셰어하우스 입주자 인터뷰 결과 주거환경 만족도는 높음에도 불구하고 1년 미만의 단기 거주 경향을 보이며, 셰어하우스 운영 전략과 입주자 구성에 따라 생활상과 커뮤니티가 다양하게 나타남
변나향 부연구위원의 다른 보고서

콘텐츠 제공 담당자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