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연구보고서
- 정책자료 2023-1
- 2023.06.30
- 143페이지
- 조회수 48651
본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 조성현황과 실제 조성사례 분석을 통해 반려동물과 연관되는 공간 정책 이슈를 발굴하고자 함
예상되는 학술 및 정책적 기여는 ①반려동물 관련 정책추진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관련 여건변화를 고려한 ②공공공간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에 있음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3. 선행연구 검토 7
Ⅱ 반려동물 관련 여건 현황
1. 반려동물 관련 사회적 여건 변화 11
1) 반려동물 양육인구의 증가와 인식 변화 11
2)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의 이슈 16
2. 국내 반려동물 관련 법제도 및 정책 추진현황 20
1) 국내 반려동물 관련 법제도 20
2) 국정과제 현황 28
3) 중앙부처 정책 추진현황 29
3. 국외 반려동물 관련 법제도 및 가이드라인 사례분석 35
1) 개요 35
2) 호주 남호주 주 36
3) 캐나다 토론토 시 42
4) 일본 도쿄도 미나토 구 48
4. 소결 53
Ⅲ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 조성 현황
1. 개요 57
2. 일반 현황 58
1) 지역별 조성 현황 58
2) 시기별 조성 현황 60
3) 조성 규모 현황 62
3. 입지 현황 66
1) 용도지역 현황 66
2) 관련 지구 및 구역 현황 68
3) 도시계획시설 등 연계 현황 72
4. 공간유형 현황 75
1) 개요 75
2) 반려동물 놀이터 76
3) 반려동물 공원 77
4) 일반적 근린환경 78
5. 소결 79
Ⅳ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 사례분석
1. 개요 83
2. 반려견 놀이터 84
1) 근린공원 내에 동물놀이터 조성 ┃ 서울 동작구 보라매공원 반려견 놀이터 84
2) 하천구역에 동물놀이터 조성 ┃ 서울 양천구 안양천생태공원 반려견 쉼터 87
3. 반려동물공원 91
1) 도시계획시설 복합화를 통해 조성 ┃ 오산 반려동물테마파크 91
2)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하여 조성 ┃ 대전 반려동물공원 96
4. 일반 근린환경 101
1) 반려견 대기공간 101
2) 반려견 공중화장실 102
3) 배변 봉투함 및 수거함 103
5. 소결 104
Ⅴ 결론
1. 연구 요약 107
2. 향후 과제 116
참고문헌 119
부 록 (국내 반려동물 관련 공공공간 조성현황) 127
유예슬 연구원의 다른 보고서

담당부서출판·홍보팀연락처044-417-9640